양승조 충남지사, 탄소중립위 출범식서 발표
석탄화력 폐쇄, 친환경차 확대 보급키로
[황재돈 기자] 충남도가 탄소중립 시기를 당초 2050년에서 2045년으로 5년 앞당기기로 했다.
양승조 충남지사는 20일 충남 예산군 스플라스 리솜에서 열린 충남도 탄소중립위원회 출범식에서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를 발표하며 “2045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양 지사는 “충남은 지난해 12월 보령화력 1·2호기 조기폐쇄를 견인하고, 탈석탄·탄소중립 금고 정책에 기업과 정부단체, 금융권의 참여를 이끌었다”며 “이런 노력은 800만톤의 온실가스 감축 성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그동안 성과를 한 단계 더 발전시켜 2018년 1억6130만톤에 달하는 온실가스를 2030년 9700만 톤, 2035년 8000만 톤, 2040년 4000만 톤으로 줄이고, 2045년에는 실질적인 탄소중립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양 지사는 끝으로 “탄소중립은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전 세계적 과제”라며 “정의로운 전환과 과감한 혁신을 통해 충남이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 탄소중립을 선도해 가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도는 지난 2019년 ‘탈석탄 기후변화 대응 국제 컨퍼런스’에서 동아시아 지방정부로는 처음 기후 비상상황을 선포하고, 2050 탄소중립을 공식화한 바 있다. 이후 정부는 지난해 10월, 전국 광역·기초단체는 지난 5월 2050 탄소중립을 공동 선언했다.
도는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2045년까지 도내 28기 화력발전을 모두 폐쇄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감축할 수 있는 온실가스는 1억250만 톤에 달한다. 또 4430만 톤(2018년 기준)인 산업 부분 온실가스 배출량도 대폭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와 함께 도는 그린수소를 늘리고 수소차 등 친환경 차 보급을 확대한다. 우선 국내 수소 공급량의 30%를 점유해 그린수소 공급을 늘리고, 2040년까지 수소차 49만 대, 수소충전기 150기 이상을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농축수산 부분 온실가스 감축, 생활 속 탄소중립 문화확산, 폐기물 에너지화, 탄소 흡수원 확대 등도 추진한다.
한편 이날 충청남도 탄소중립위원회는 양 지사와 허재영 국가물관리위원장, 탄소중립 분야별 전문가, 산업·학계 인사, 시민사회단체 대표 등 87명으로 구성됐다. 위원장은 양 지사와 허 위원장이 공동으로 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