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쿠폰 지방비 매칭, 재정 악화 우려
국·과장 모시는 날 등 공직문화 개선 당부
이장우 대전시장이 1일 열린 7월 확대간부회의에서 지방재정 악화 우려에 따른 긴축재정 돌입, 대전교도소 이전 사업 매듭 등을 주문했다.
이 시장은 이날 오전 회의석상에서 “지난 2, 3년간 세수가 약 연 3000억 원 정도씩 줄었다. 정부 소비쿠폰 매칭 비율은 8대 2로 시가 800억 원을 지출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지방채 발행 한도 도달 등 지방정부에 빚이 쌓여가는 것이 고민”이라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2, 3년 동안 시는 긴축재정과 함께 현안 사업도 철저히 최우선 사업 중심으로 해나가야 한다”며 “시급을 요하지 않는 사업은 뒤로 미루더라도 건강재정을 유지하도록 하고, 산하기관도 인력 확충 없이 현재 있는 인력 안에서 효율적으로 조직을 운영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시장은 새 정부 출범에 맞춰 운영 중인 국정기획위원회 활동과 관련해 ‘대전교도소 이전’ 현안을 우선 반영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대전교도소 이전 사업은 문재인 정부 시절 사업 부지를 확정하고, 윤석열 대통령 지역공약으로 선정됐으나, 사업성 문제로 한 걸음도 떼지 못했다.
이 시장은 “대전교도소 이전이 꼭 필요한 상황이다. 재정 사업이든 부영건설이 하든(민간) 이번 정부에서 끝낼 수 있도록 올해 말까지 결정해야 한다”며 “국정기획위에 속한 조승래 국회의원이 그 역할을 지원할 것이고, 어떤 식으로든 매듭지어야 한다고 본다”고 밝혔다.
7월 1일자 정기 인사와 관련해선 공직문화 개선도 당부했다. 국·과장 모시는 날, 휴일 업무 지시 등 권위적인 조직문화 잔재 해소를 지시했다.
이 시장은 “지금은 많이 개선됐지만, 국장 모시는 날 등 과거 권위적인 선·후배 조직문화 잔재가 남아있어선 안 된다. 이왕이면 밥 한끼를 사더라도 윗사람이 사야 직원들이 힘이 나지 않겠느냐"며 "재난·위급 상황 외에는 직원들이 주말에 충분히 쉴 수 있도록 전화나 현장 호출 등을 해서도 안 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