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철민 의원 ‘美 신정부 자동차 통상환경 대응 간담회’ 개최

1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미국 신정부 자동차 통상환경 대응을 위한 간담회’ 모습. 장철민 의원실 제공. 
1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미국 신정부 자동차 통상환경 대응을 위한 간담회’ 모습. 장철민 의원실 제공.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전방위적 통상압박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장철민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대전 동구)이 자동차 산업 대응 전략 마련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12일 국회 의원회관 세미나실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장 의원은 업계의 애로사항과 요구사항을 청취하고 향후 지속적인 소통과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미국이 25% 자동차 관세를 적용하면 국내 자동차 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등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발제를 맡은 김경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관세 조치, 현대차 미국 현지 신규공장의 본격 가동 및 한국 지엠 수출 물량 감안시 국내 생산 차질이 70~90만 대에 이를 수 있다”며 “ 현재 미국 시장에 대한 과도한 의존과 수출 중심 미국 시장 판매에 대한 구조변화, 우리 기업의 중국에 대한 자동차 부품 공급망 의존도 개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정란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상무는 “생산기지 미국현지화 확대 및 내수판매 부진으로 국내 생산기반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며 “미래차 분야 시설 투자세액공제 등 미래차 전환 정책 강화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김영훈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실장은 “자동차 부품사 국내 복귀기업 지원 조을건 완화하고 영세 부품기업이 통상 환경 변화에 견딜 수 있도록 사업 자금 대출기한 연장시 대출조건 유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완성차 업계 관계자들도 정부 차원의 통상 대응을 요청했다. 이준영 현대자동차 상무는 “미국 시장 현대‧기아차 판매 차량의 57%가 국내 생산으로, 수출 비중이 높아 향후 미국 현지생산을 늘릴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며 “필요한 것은 국내 생산 기반 위축에 대응한 세액공제 확대”라고 요청했다.

간담회를 주최한 장철민 의원은 “생산감소에 따른 국내 생산 충격에 대한 대책과 4월 2일 구체화 될 관세조치에 대한 대책 모두 적극 대응해야 할 사항”이라며 “향후 국회, 정부, 업계가 머리를 맞대고 지속적으로 소통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

이날 간담회에는 더불어민주당 산자위원인 김원이‧김동아‧이언주‧이재관‧정진욱‧허성무 의원이 공동 주최자로 참석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