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전력 자급률, 친환경 에너지 수급 대안 제시
"충남, 재생에너지 잠재력 풍부"

송활섭 대전시의원이 ‘초광역 협력’을 통한 시의 에너지 자립을 촉구했다. 디트뉴스 DB.
송활섭 대전시의원이 ‘초광역 협력’을 통한 시의 에너지 자립을 촉구했다. 디트뉴스 DB.

송활섭 대전시의원(무소속·대덕2)이 ‘초광역 협력’을 통한 시의 에너지 자립을 촉구했다. 

송 의원은 10일 제284회 임시회 1차 본회의 5분 발언에서 "충청광역연합의 에너지 초광역 협력은 시가 직면한 전력자급률 문제와 RE100을 해결하는 명확한 대안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난해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시행됨에 따라 점차 도매·소매 전기요금이 지역별 차등 적용될 예정이다. 시의 경우 전력자급률이 2.9%에 불과해 전기요금 폭등이 우려되는 실정. 

이와 함께 글로벌 기업이 RE100(기업이 사용하는 전력량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 달성을 목표로 하는 상황에서, 시가 기업 유치 및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친환경 에너지 공급체계를 갖춰야 한다. 

송 의원은 "최근 시가 2037년 전력자립도 102%를 내세우며 교촌 국가산단에 500MW급 친환경발전소 4기를 건설하고, 관련 기관과 RE100 지원체계를 구축한다고 했다"면서도 "다만 대규모 전력 수요 증가와 기업의 친환경 요구를 충족하기에 한계가 분명하다"고 말했다. 

그는 ‘초광역 협력’을 해답으로 제시했다. 

송 의원은 “충남은 해안가를 중심으로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잠재력이 풍부하다”며 “최근 한 보고서에 따르면 충남이 재생에너지를 과감히 확대할 경우 2050년까지 전력자립률 150%까지 높일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전과 충남이 초광역으로 협력한다면, 시의 낮은 전력자립도와 RE100 요구라는 이중과제를 동시에 풀어낼 수 있을 것”이라며 “이미 광주는 호남권, 제주와 초광역 그린에너지협력 벨트 구축 계획을, 부산과 울산, 경남은 수소배관 등 공동구매를 통한 상호 보완 에너지 협력을 강화했다”고 강조했다. 

송 의원은 “지난해 12월 충청광역연합 특별지자체가 출범해 초광역 협력 기틀은 마련됐다”며 “초광역 교통망 구축과 산업 육성 등 주요 광역사무에서 한발 더 나아가 에너지 분야를 핵심협력 의제로 삼는다면, 시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