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민호·김종민 “충청특별자치도 찬성, 세종 합류는 반대”
세종특별자치시가 ‘대전·충남 통합’ 흐름에 휩쓸리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세종은 출범부터 '행정수도'를 목표로 충남으로부터 분리된 만큼, 회귀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이유다.
대신 충청 지자체 일원으로서 공동 현안에 대응·협조하지만, 궁극적으론 ‘미국 워싱턴D.C.’처럼 독립적 지위를 갖춰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앞서 이장우 대전시장은 지난 11일 국회 출입기자와 만나 “대전·충남 통합을 위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고, 본격 논의에 들어갈 예정”이라며 광역단체 통합 준비 사실을 알렸다.
"독립적 지위 확보 목표..통합 논의 응하지 않아"
최민호 세종시장은 14일 서울 여의도 ‘국비확보 상황실’ 현판식에서 ‘대전·충남 통합’ 관련 질문에 “세종은 충남도에서 떨어져나왔을 때 이미 독립적 행정수도, 워싱턴D.C.와 같은 도시를 만들려는 목표를 가졌다”고 말했다.
그는 “다시 돌아간다면 행정수도라는 큰 지역 목표를 갖고 투쟁하고, 단식한 지역주민의 노력은 무엇이 되겠느냐”며 “대전과 충남, 충북이 통합하는 것에 찬성하지만, 세종시는 워싱턴처럼 독립적 지위를 가져야 한다. 통합 문제에는 응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최 시장은 또 “지금 가진 체제에서 서로 협조하고, 광역행정으로 해결할 건 해결할 것”이라며 “세종은 충청권 자치단체 일원으로 함께 협조하고 건설적 문제를 논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종민, ‘경제와 행정’ 투트랙 전략
김종민 의원(무소속·세종갑)은 ‘경제와 행정’ 분야 투트랙 전략을 제시했다. 충청권 광역단체 편입에는 부정적 입장을 밝혔지만, 규모의 경제를 거론하며 충청권 단체와 협력을 강조했다.
김 의원은 “충남도 부지사를 지낼 당시 대전·충남·충북을 통합해 500만 규모의 충청특별자치도, 수도권에 버금가는 단위를 만들자고 제안했다”며 “기재부나 행안부로부터 예산이나 조직권을 더 많이 확보하는 것은 이길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렇지 않으면 150만, 200만 자치단체로선 기재부와 행안부로부터 권한을 받기 힘들다. 지금처럼 늘 국비상황실을 차려놓고 기재부에 로비하는 신세를 면치 못한다”고도 했다.
다만 “세종시는 행정수도로 만든 도시이기에 행정적 편입은 어렵다”며 “행정적 대표성 지위는 유지하되, 경제로는 충청특별자치도와 행정 연합을 통해 시너지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내부적으로 연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국회가 완전 이전하면 세종은 60만 인구를 넘을 것이다. 경제 동력 확보를 위해 워싱턴D.C.모델을 가져와 글로벌 스타트업 도시로 발전시켜야 한다”며 “궁극적으로 국제기구와 외교 공간까지 온다고 가정하면 글로벌 문화특구로 세종시를 발전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