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강제징용 피해자의 아들"..정부 대응에 ‘일침’

박수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충남 공주·부여·청양)이 일본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를 두고 가슴속에 묻어둔 울분을 터트렸다. 사도광산 등재 정부 대응을 두고 국회의원이 아닌 개인사 얘기를 꺼내들면서다. 자료사진. ⓒ황재돈 기자. 
박수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충남 공주·부여·청양)이 일본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를 두고 가슴속에 묻어둔 울분을 터트렸다. 사도광산 등재 정부 대응을 두고 국회의원이 아닌 개인사 얘기를 꺼내들면서다. 자료사진. ⓒ황재돈 기자. 

박수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충남 공주·부여·청양)이 일본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를 두고 가슴속에 묻어둔 울분을 터트렸다. 사도광산 등재 정부 대응을 두고 국회의원이 아닌 개인사 얘기를 꺼내들면서다. 

박 의원은 26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문화체육관광부와 국가유산청을 대상으로 한 현안질의에서 “46차 세계유산 등재위원회 사도광산 등재 과정에서 외교부가 주무부처지만, 적어도 문체부와 유산청이 1차 관련부서”라며 “어떤 역할을 하는지 지켜봤지만, 기대에 못미쳐 실망감을 금할 수 없었다”고 질타했다. 

그는 이어 “‘이후에도 계속 관심을 갖고 지켜보겠다’는 말은 사후약방문에 불과한 면피용 발언”이라며 “적어도 문체부와 유산청이 외교부에 적극적으로 말했어야 했고, 국민을 향해서도 의견개진을 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발언 과정에서 자신의 선친 얘기를 꺼냈다. “제 선친께선 강제징용 피해자였고, 돌아가시기 3일 전에서야 아들에게 피해자였음을 말씀하셨다”며 “왜 국가가 개인을 보호하지 못해 강제로 끌려갔던 아픔의 역사를 개인이 일생을 얘기하지 못하고 돌아가셨겠느냐”고 반문했다. 

“이는 현 정권과 정부의 문제가 아니다. 정체성의 문제이고 사실의 문제”라며 “‘역사는 사실로 하여금 이야기하게 하라’는 격언이 있다. 대한민국 연속성과 정체성 측면에서 국가의 책임을 명확히하고, 다짐한다는 측면에서 반드시 함께 인식하고 공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끝으로 “정부는 ‘강제성’이라는 부분이 담보될 수 있도록 전시시설이 작은 동네박물관 한 귀퉁이에서 천대받듯이 있는 것이 아니라 사도광산 현지에 전시되도록 해야한다”고 당부했다. 

박 의원은 그동안 사도광산 등재에 적극 반대 입장을 표명해왔다. 지난 2015년 일본 군함도 탄광 세계유산 등재 과정 선례에 비춰 일본이 제국주의 시대 만행 은폐와 역사 미화 가능성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이에 박 의원은 지난 7월 ‘일본 정부의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추진 철회 및 일본 근대산업시설 유네스코 권고 이행 촉구 결의안’을 대표발의했고, 국회 본회의를 통과시켰다. 

또 대통령 비서실장을 상대로 “일본은 군함도를 세계유산에 등재하면서 약속한 강제징용 역사 수록을 지키지 않고 있다”며 “정부와 대통령실이 시급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호소에 가까운 당부를 전하기도 했다.

정부가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에 동의한 것을 두곤  “역사와 외교를 포기한 전대미문 외교 참사”라며 “국민 자존심을 심각하게 훼손했다. 굴종 외교로 강제노역 피해자와 유족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줬다"고 비판키도 했다.

한편, 박 의원은 이날 유인촌 문체부 장관에게 공주시 ‘고마나루국제연극제’ 예산 지원이 끊긴 점을 언급하며 ‘문화 균형발전’을 위한 개선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