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1940년대 인구 대비 강제징용 동원자 비율 높아
"한국 정부, 일본 정부에 등재 철회 촉구해야"
[내포=디트뉴스 김다소미 기자]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박수현 더불어민주당 공주·부여·청양 국회의원이 첫 대표발의한 ‘일본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추진 철회’ 결의안이 18일 야당 단독으로 상임위를 통과했다.
‘일본 정부의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추진 철회 및 일본 근대산업시설 유네스코 권고 이행 촉구 결의안’에는 일본 정부의 등재 신청에 심각한 유감을 표명하고 과거사에 대한 진정한 반성과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박 의원이 대표 발의자로 나선 데에는 강제징용 피해자였던 선친과 관련한 개인사적 배경뿐 아니라 지역적 관련성도 매우 크다.
곡창지대로서 1940년대 인구 대비 동원자 수의 비율이 가장 높았던 충남지역은 총 9823명의 충남 강제 동원 피해자가 있었고, 이중 공주(1225명)가 가장 동원자 수가 많았고, 이어 서산(966명), 부여(934명), 당진(851명) 순이다.
18일 박 의원실에 따르면 결의안은 박 의원의 제안으로 민주당 정책 의원총회에서 당론으로 채택됐고, 169명 민주당 의원 전원이 공동발의자로 참여했다.
2023년 1월 유네스코에 신청서가 접수돼 등재가 추진 중인 일본 니가타현 사도 광산은 세계 유산적 가치를 에도시대(1603년~1868년)로만 한정해 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이 자행한 강제징용의 역사는 배제했다.
오히려 일본 산케이 신문은 보도를 통해 ‘한국 정부의 입장이 사도 광산 등재에 대해 우호적으로 바뀌었다’며 우리 정부 입장을 왜곡하고 있다.
박 의원은 “더 심각한 건 국제기구인 유네스코의 권고와 일본 정부가 스스로 약속한 이행 조치 조차 지키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일본 정부는 자국 근대산업 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과정에서 제국주의 시절 자행됐던 한국 및 주변국 국민에 대한 강제노역 사실을 부정하고 있는 상황이다.
2015년 세계유산 등재가 완료된 군함도 탄광을 비롯한 23곳의 메이지 근대산업시설은 세계유네스코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일본 대표가 ‘한국인 등의 강제노역 사실과 희생자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포함’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박 의원은 “9년이 지난 현재까지 어떠한 조치도 이행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일본 메이지 근대산업시설’관련 유네스코에 약속한 일본의 후속 조치가 이행되기까지 사도 광산의 등재 추진을 철회하도록 우리 정부가 일본 정부에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