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승래 의원 “한전기술 관리카드 보니 ‘이전 완료’ 확인”
“대전 R&D 협업 생태계 위협...강제 이전 중단” 요구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한국전력기술노동조합이 지난 1월 22일 대전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천 강제 이전 추진에 반발하고 있다. 조승래 의원실 제공.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한국전력기술노동조합이 지난 1월 22일 대전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천 강제 이전 추진에 반발하고 있다. 조승래 의원실 제공.

[김재중 기자] 윤석열 정부가 대전에 있는 한국전력기술 원자로설계개발본부(이하 원설본부) 경북 김천 이전을 추진 중이지만, 내부적으로는 이미 지방 이전을 완료했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명분도 없이 원설본부 이전을 강행하고 있다는 의미다.

7일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대전 유성구갑)이 한국전력기술(이하 한전기술)로부터 ‘지방이전 공공기관 관리카드’를 제출받아 전수 분석한 결과, 한전기술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 부처에 자사의 지방 이전 현황에 대해 ‘이전 완료’로 보고해 온 것으로 확인됐다.

‘지방이전 공공기관 관리카드’는 국토교통부 지침에 따라 지방 이전 공공기관이 자사의 이전 현황을 소관 부처에 정기 보고하는 공식 문서다.

관리카드에 ‘이전 완료’라는 보고가 이뤄진 것과 관련, 조승래 의원은 “원설본부를 포함한 한전기술 내 모든 조직의 지방이전이 이미 끝났다는 뜻으로, 강제 이전의 명분도 실익도 없음이 입증된 것”이라며 “정부는 강제 이전 시도를 즉각 중단하고, 원설본부 직원들이 안정적인 환경에서 근무·연구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헀다.

산업부와 국토부는 지난해 말부터 한전기술이 대전 소재 원설본부를 포함한 모든 조직을 김천으로 이전해야 함에도 원설본부가 대전에 소재한 것을 문제 삼으며 추가 이전을 요구해 왔다.

이 같은 원설본부 강제 이전 시도에 대해 지역 원자력계와 정치권 반발이 이어졌다. 한전기술 노조는 지난 1월 22일 조승래 의원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대전 원자력 클러스터 와해, 전문인력 유출로 해외 원전 수출과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에 악영향이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원자력계 7개 기관 노동조합의 연대체인 원자력노동조합연대(원노련)도 같은 달 25일 반대 성명을 발표했다.

한편, 300명 이상이 근무 중인 원설본부는 한국원자력연구원 내부 조직으로 운영되다 지난 1997년 한전기술에 합병된 조직이다. 국내외 원전 1차 계통 설계,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신기술 개발을 담당한다.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중앙연구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등 대전 소재 유관 기관들과 협업이 중요해 합병 당시에도 용인 본사로 이전하지 않았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