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중순부터 도청 희망카페 등 14곳 테이크아웃 시 다회용컵 사용
환경 보호 필요성 공감 속 불편 우려도
도 “차질 없도록 철저히 준비할 것”
[유솔아 기자] 내달부터 충남도 내포신도시 일부 카페에서 일회용 컵을 볼 수 없을 전망이다.
23일 도에 따르면 내달 중순부터 내포신도시 내 프랜차이즈 카페 14곳(잠정)이 다회용 컵 전용 매장으로 운영된다.
이는 도가 추진 중인 ‘탄소중립을 위한 충남형 다회용기 선순환 모델 구축’ 사업 일환으로, 도는 내포신도시를 시범지역으로 선정했다.
이에 따라 카페는 음료 포장(테이크아웃)시 다회용 컵에 제공하고, 소비자는 컵을 사용한 뒤 무인반납기에 반납해야 한다. 무인반납기에 수거된 컵은 세척 후 다시 카페에 공급된다.
소비자는 음료 주문 시 전용앱을 사용해야 한다. 다회용 컵에 음료가 제공되면 앱 포인트가 차감되고, 컵을 반납하면 해당 포인트가 재충전되는 방식이다.
이번 시범 사업에는 도청 내 희망카페 2곳과 공감마루 카페(내포혁신플랫폼), 내포 소재 프랜차이즈 카페 등 총 14곳이 참여한다. 무인반납기는 일부 카페와 외부에 설치될 예정이다.
도는 추후 공모를 통해 시범지역 3곳을 추가 선정하고, 타 시·군까지 사업규모를 확대할 방침이다.
환경보호 차원 필요성 공감, 일부선 '불편' 우려도
일부에서는 환경보호를 위한 조치인 만큼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도청 희망카페 직원 윤혜란 씨는 23일 <디트뉴스>와 만난 자리에서 “도청에 있는 카페 2곳에서 하루 평균 1000잔 이상 일회용 컵으로 나간다”며 “텀플러 사용 시 할인혜택을 제공하고, 매장에선 머그컵 사용을 권장하지만, 매장 컵을 사용하는 분은 0.5%도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편리성 때문에 일회용 컵을 선호하고, 위생적인 부분을 우려하는 소비자가 있는 만큼, 보다 준비를 철저히 해야 혼란이 없을 것”이라며 “또 인식개선을 위해 권장·권고보다는 의무화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날 일회용 컵을 이용한 한 도청 직원은 “제도가 시행된다면 동참 의사가 있다”며 “도가 탄소중립경제특별도를 선포한 만큼, 공직자는 물론 지역 주민들도 동참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유정 도 새마을공동체과 주무관은 “일부에서 하는 우려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며 “다소 불편은 있겠지만, 환경보호와 탄소중립을 위해 도민들의 협조를 부탁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