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발달장애인 거점병원 0곳
대전 아동학대 전담 예방경찰 3년간 인력 확충 전무
대전시 반려동물 장묘업체 부재...불법 투기, 원정 장례 택하기도
[유솔아 기자] 충청권에는 없거나 부족한 시설이 많아 지역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대전과 세종, 충남에는 발달장애인 거점병원이 없다. 지역 발달장애인 191명은 거점병원을 찾아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고생을 겪는다.
또 대전 지역 아동학대가 매년 늘어나고 있지만, 이를 전담하는 학대예방경찰(APO)이 턱없이 부족하다.
이밖에 반려동물 가구가 20만을 넘은 대전에는 반려동물 장묘업체가 없다. 시민들은 충남, 세종, 전북 등 반려동물 장례 업체를 찾아 원정 장례를 떠난다.
충청권 언론은 지난 20일 지역 내 부족하거나 없어 불편함을 야기하는 것들을 살폈다.
<충청투데이>는 대전과 세종, 충남에 발달장애인 거점병원이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충청권 발달장애인 191명은 충북, 서울, 인천 등 타 지역으로 이동해 치료를 받고 있다. 또 발달장애인 수에 비해 거점병원 수가 적다보니 진료를 받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고 있다고 꼬집었다.
<충청투데이>는 최근 강선우 의원이 대표발의한 법안을 주목했다. 이는 광역자치단체 별 거점병원 설치 의무화를 골자로 한다. 강 의원은 “발달장애인이 어느 지역에 살든 차별 없는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국가와 지자체가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중도일보>는 대전 지역 아동학대 발생빈도가 날로 늘고 있지만,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경찰인력이 적다고 보도했다. 현재 지역 내 아동학대 전담 APO는 7명으로, 3년 간 인원 확충이 없었다.
이 신문에 따르면 지난해 아동학대 전담 APO 1인당 100건 이상의 사건을 맡으면서 과도한 업무량에 시달려왔다. 이들은 사건 신고 접수부터 대응, 피해자 보호 지원 등을 도맡아야 하기 때문에 인력 충원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TJB>는 대전시 내 반려동물 장묘업체가 한 곳도 없어, 시민들이 불법 매장이나 원장 장례를 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언론은 또 시가 다른 지역 장묘 업체를 이용할 경우 10% 할인해주는 협약을 맺었지만, 현실성이 낮다고 지적했다, 홍보 부족으로 정작 이용하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대전시는 이와 관련해 홍보 확대 등 개선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또 반려동물 장묘 업체 조성 기준이 대부분 개발제한 구역에 해당되는 등 기준 완화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