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발달장애인 거점병원 0곳
대전 아동학대 전담 예방경찰 3년간 인력 확충 전무
대전시 반려동물 장묘업체 부재...불법 투기, 원정 장례 택하기도

충청권에는 없거나 부족한 시설이 많아 지역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왼쪽부터 대전시청, 세종시청, 충남도청 전경.
충청권에는 없거나 부족한 시설이 많아 지역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왼쪽부터 대전시청, 세종시청, 충남도청 전경.

[유솔아 기자] 충청권에는 없거나 부족한 시설이 많아 지역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대전과 세종, 충남에는 발달장애인 거점병원이 없다. 지역 발달장애인 191명은 거점병원을 찾아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고생을 겪는다.

또 대전 지역 아동학대가 매년 늘어나고 있지만, 이를 전담하는 학대예방경찰(APO)이 턱없이 부족하다.

이밖에 반려동물 가구가 20만을 넘은 대전에는 반려동물 장묘업체가 없다. 시민들은 충남, 세종, 전북 등 반려동물 장례 업체를 찾아 원정 장례를 떠난다. 

충청권 언론은 지난 20일 지역 내 부족하거나 없어 불편함을 야기하는 것들을 살폈다. 

<충청투데이>는 대전과 세종, 충남에 발달장애인 거점병원이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충청권 발달장애인 191명은 충북, 서울, 인천 등 타 지역으로 이동해 치료를 받고 있다. 또 발달장애인 수에 비해 거점병원 수가 적다보니 진료를 받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고 있다고 꼬집었다.

<충청투데이>는 최근 강선우 의원이 대표발의한 법안을 주목했다. 이는 광역자치단체 별 거점병원 설치 의무화를 골자로 한다. 강 의원은 “발달장애인이 어느 지역에 살든 차별 없는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국가와 지자체가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중도일보>는 대전 지역 아동학대 발생빈도가 날로 늘고 있지만,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경찰인력이 적다고 보도했다. 현재 지역 내 아동학대 전담 APO는 7명으로, 3년 간 인원 확충이 없었다. 

이 신문에 따르면 지난해 아동학대 전담 APO 1인당 100건 이상의 사건을 맡으면서 과도한 업무량에 시달려왔다. 이들은 사건 신고 접수부터 대응, 피해자 보호 지원 등을 도맡아야 하기 때문에 인력 충원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TJB>는 대전시 내 반려동물 장묘업체가 한 곳도 없어, 시민들이 불법 매장이나 원장 장례를 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언론은 또 시가 다른 지역 장묘 업체를 이용할 경우 10% 할인해주는 협약을 맺었지만, 현실성이 낮다고 지적했다, 홍보 부족으로 정작 이용하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대전시는 이와 관련해 홍보 확대 등 개선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또 반려동물 장묘 업체 조성 기준이 대부분 개발제한 구역에 해당되는 등 기준 완화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