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형 상가 공실률 17개 시도 중 1위
금강수변상가 절반 이상 공실..."입주 업종 늘려야"
법원, 검찰청 부지 상가 4년째 ‘텅텅’

세종시가 상가 공실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자료사진.
세종시가 상가 공실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자료사진.

[유솔아 기자] 세종시가 상가 공실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세종시 금강수변상가 498개 점포 중 287개(57.6%)가 비어있고, 법원과 검찰청 부지 주변 상가는 공실률이 4년째 90%에 달한다. 

또 지난해 4분기 세종시 중대형 상가 평균 공실률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충청권 언론은 지난 15일 세종시 상가 공실 문제 원인을 짚고 해결 방안을 모색했다. 

<SBS>는 먼저 세종시 금강수변상가 공실 문제를 보도했다. 시가 지난해 10월 공실 해소를 위해 입주 업종을 늘려줬지만, 효과는 거의 없는 상태. 

일각에서는 업종 규제를 풀고, 공무원 외식일을 지정해 상권 활성화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다만 당초 행정도시 품격과 경관미, 환경보호 측면에서 엄격한 업종 제한을 걸었던 데다, 분양가도 다른 상가에 비해 저렴하게 공급된 만큼 형평성 논란이 일 수 있다. 

세종시는 이와 관련 다양한 상인들의 의견을 청취한 뒤 형평성에 맞춰 검토해보겠다고 밝혔다.

<KBS>는 세종지방법원과 검찰청 부지 인근 상가 공실 문제를 다뤘다. 이 지역에 있는 한 건물은 준공 4년이 지났지만, 공실률이 90%에 달한다. 준공 당시만 해도 호재를 기대하며 평당 분양가가 4000만 원을 호가했지만, 현재는 문의조차 없는 상황.

이 언론은 법원·검찰청 설치 확정이 안 되다 보니 해당 지역 상권이 암흑기에 빠졌다고 설명했다. 관련 법안이 2년째 국회 법사위를 통과하지 못했다. 법안 상정 당시 법사위 심사 보고서를 보면 ‘세종시의 경우 법원을 설치할 여건이 아니’라고 명시돼있다. 

<KBS>는 세종시가 행정수도로서 특수성과 상징성을 앞세워 법원과 검찰청 설치를 요구하고 있지만, 합의점을 끌어내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앙일보>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세종시 중대형 상가 평균 공실률은 22.9%로 전국 17개 시도 중 1위다.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10.9%로 전국 최고다. 

이 신문 또한 세종시 금강수변상가 공실문제를 다뤘다. 상가 공실률은 간선급행버스 노선 상권과 아파트 단지별 상가구역을 합한 수치로, 금강수변상가 공실률 훨씬 높을 것으로 내다봤다.  

기사 말미에는 “입점 업체 규제를 더 풀어줘야 한다. 상가 입점 용도를 완화하고, 체류형 관광객을 위한 호텔을 조성해야 한다”는 유인호 세종시의원(더불어민주당·보람동)의 발언을 실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