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원 축소 대비…소비인센티브 확대 등 인센티브 제도 조정
[부여=안성원 기자] 충남 부여군이 정부의 지역화폐 지원예산 감축을 대비, 공동체 순환 지역화폐인 굿뜨래페이의 인센티브 제도를 조정한다.
5일 군에 따르면, 이달 4일부터 ▲월 100만 원 충전 한도 폐지 ▲소비인센티브 지원 한도 확대 ▲순환인센티브(5%) 월 결제금액 800만 원 제한 등의 굿뜨래페이 인센티브 제도를 조정했다.
굿뜨래페이 도입 초기 활성화의 한 요소로 작용했던 정부 지원이 최근 축소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점차 자립할 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해 군이 내놓은 대응책이다.
여기에는 굿뜨래페이의 공동체 순환 생태계가 유통량 측면에서도 충분히 자리 잡았다는 자신감도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굿뜨래페이는 2년 4개월이 지난 지난 3월 말 현재 발행액 2250억 원, 이용액 2360억 원을 돌파했다. 사용 인구는 군 전체의 94%인 6만107명에 달한다.
전국 유일의 독자 개발 순환형 시스템 덕분에 0.7~1.6%가량의 가맹점 카드결제 수수료도 절감하고 있다. 부여군 전체 소상공인 등이 절약한 카드 수수료 총액은 최대 38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순환부가가치도 221억 원으로, 할인예산 고갈 위험에서도 다른 지자체 보다 자유로운 상태다.
또 충전 한도를 폐지하면서 소비인센티브 대상 금액의 지원 한도도 확대됐다. 기존에는 월 100만 원 한도 충전금액 내에서만 소비인센티브를 지급했지만 앞으론 0∼6%의 소비인센티브 대상 액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정부 지원예산 축소 경향에 대응해 미성년자에게는 월 30만 원까지, 일반인에겐 월 100만 원까지 충전인센티브를 부여한다. 초과 충전하는 경우엔 충전인센티브 없이 소비인센티브만 받을 수 있다.
가맹점에 지급됐던 순환인센티브는 지급 대상금액을 월 800만원까지로 한정한다.
박정현 군수는 “굿뜨래페이는 군민들이 스스로 만들어 낸 공동체 순환 지역화폐로 자리잡았다. 정부 지원책이 축소되더라도 경기활성화와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사회적 합의를 거쳐 인센티브 정책을 변경했다”며 “앞으로 굿뜨래페이 내 직거래 플랫폼, 배달 기능 등을 담아 공동체 문화의 핵으로 자리잡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