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4개 시·도, 지방은행 설립 공동 추진 협약 체결
각 시·도 추진단 구성, 용역 추진..2023년 금융위에 인가서 제출 목표
[황재돈 기자] 충청권 4개 시·도가 지난 1998년 외환위기 당시 사라진 '충청권 지방은행' 부활을 위한 날개짓을 시작했다. 단체장들이 한 데 모여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에 한목소리를 내면서다.
양승조 충남지사와 허태정 대전시장, 이춘희 세종시장은 8일 내포신도시 충남도서관에서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을 위한 충청권 공동 추진 협약’을 체결했다. 일정상 협약에 참석하지 못한 이시종 충북지사는 사전에 서명을 마쳤다.
협약에 따르면, 각 시·도는 내년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을 위한 시·도민 추진단을 결성하고, 공동 연구용역을 추진키로 했다.
또 실무협의회를 가동해 출자자 모집을 거쳐 2023년 금융위원회에 인가서를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지역 상공인과 상공회의소, 기업인연합회 등 동참과 시도민의 지지를 이끌기 위한 노력도 기울이기로 했다.
1998년 외환위기에 사라진 충청은행
지역자금 역외유출 심화, 지역 중소기업 ‘불이익’ 가중
디트뉴스24 창간 20주년 특집 '충청권 지방은행 재건을 꿈꾼다'
충청권 지방은행인 충청은행은 1997년 외환위기 금융산업 구조조정에 따라 이듬해 6월 퇴출됐다. 이후 23년간 충청권은 지방은행이 없는 실정이다.
지방은행이 없다보니 금융의 수도권 쏠림은 심각해졌고, 지역 금융경제 낙후, 지역자금 역외유출 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실제 2019년 충남 소득 역외유출 규모는 24.7%로 전국 17개 시·도 중 1위다. 충북은 21.8%로 2위를 기록 중이다. 지역민에게 분배되고 지역경제에 재투자돼야 할 자금이 외부로 유출되고 있는 것.
아울러 지역 중소기업들은 지방은행이 없어 불이익을 받고 있다. 2019년 기준 중소기업 대출 평균금리를 보면, 지방은행이 있는 경남은 3.23%, 광주·전남 3.44%, 대구·경북 3.5%인데 반해 충남은 3.6%로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받고 있다. 업체당 대출금액 역시 1억1000만원으로 부산 2억2000만원 대비 절반에 그치고 있다.
"지방은행 설립, 기업 지원 강화 기대"
은행법상 지방은행은 신규 총 대출의 60% 이상을 지역 중소기업에 지원해야 하기 때문에 충청권 지방은행이 설립되면 중소기업에 저금리 유동성 지원이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양승조 충남지사는 “지방은행이 설립되면 자금을 효과적으로 조달하고, 조성된 자금을 지역경제 발전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양 지사는 이어 “소득 역외유출을 막고, 지역 금융을 활성화 시킬 유일한 방안은 지방은행 설립 뿐”이라며 “지방은행 설립을 위해 함께 힘을 모아가자”고 전했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서울 일극(一極) 경제체제에 따라 충청권은 존립 위기에 처했다”며 “지역의 경제적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지방은행 설립을 충청권 메가시티 주요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충남도는 지난 9월 도내 15개 시·군과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을 위한 공동협약을 체결, 범도민추진단 결성과 추진단 활동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