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인구 감소에 지역 대학 '위기 봉착'
"대학 기능 역할 재조정, 지역인재 정착 선순환 환경 필요"
[황재돈 기자] 올해 충남지역 29개 대학교·전문대학 신입생 충원율이 급속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학령인구 감소로 신입생 미달 대학이 속출하면서 대응방안이 절실한 상황이다.
31일 교육부와 충남도 등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전국 대학 입학정원 대비 입학가능 학생 수가 역전됐다. 지난해 입학 부족 인원은 1만7842명인 반면, 올해는 6만8288명으로 크게 늘었다. 이에 따라 오는 2024년에는 12만 명의 학생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역대학 신입생 충원율도 급격히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대학교·전문대학(대학교 20곳, 전문대학 9곳) 신입생 충원율은 2019년 99.1%에서 2020년 97.2%, 2021년 91.6%로 매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도내 대학교·전문대학 신입생 충원율에서 70% 미만인 학교는 5곳, 70%대는 3곳, 80%대는 4곳으로 각각 집계됐다.
특히 전문대 충원율은 지난해 89.5%에서 올해 76.7%로 급감했다. 보령 아주자동차대 69.4%, 홍성 청운대 77.7%, 혜전대 72%, 한국폴리텍4대학 홍성캠퍼스 50.8% 등을 기록했다.
지역인재 유출→경제적 손실, 산업 경쟁력 하락
신입생 미달뿐만 아니라 인재유출에 따른 지역 산업 전반 경쟁력 하락의 악순환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충남지역 고교생 20.4%는 수도권 대학으로 진학하고, 충청권에 잔류하는 비율은 67.4%로 조사됐다.
지역 소재 대학을 졸업하더라도 졸업생 56.8%가 수도권에 취업했고, 충청권 잔류 비율은 35.4%에 불과했다.
대학별 강점을 키워 지역대학의 기능과 역할을 재조정하고, 지역인재가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선순환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되는 이유다.
도 관계자는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지방대학 소멸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다”며 “대학과 협의를 통해 대학별 강점을 살리는 기능과 역할 재조정으로 지속 가능성을 높여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지역인재가 지역 대학에 진학하고, 지역에서 취·창업해 결국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선순환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 정원 균형 건의, 충청권 공유대학 구축, 지역대학 경쟁력 강화 등 방안을 중앙정부에 건의할 것"이라며 "아울러 지역대학 연쇄 폐교 위기 대응을 위한 전담조직을 확대해 지방대학 소멸위기에 대응해 나가겠다”고도 했다.
천안지역 한 대학교 관계자는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지방대학의 위기는 거스를 수 없는 현실”이라며 “외국인 유학생 해외박람회 등을 통해 새로운 입학자원을 발굴하는 데 집중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교육부는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과감한 구조개혁과 대학별 자율혁신에 기반한 적정 규모화, 정원 조정 유연화 등을 통해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또 대학기본역량진단 평가를 바탕으로 기준에 미달한 대학은 일반재정지원 제한으로 대학 정원 감축을 유도하는 한편, 5대 권역(수도권, 대구·경북·강원, 부산·울산·경남, 전라·제주, 충청권)으로 나눠 권역별 대학을 선정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