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소방,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7개 기관 합동 감식반 구성
내부 진입 여부 검토 결과, 내부 진입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
지난 15일 천안시 동남구 풍세일반산업단지 내 이랜드 패션 물류센터에 대형 화재가 발생한 후 6일이 지났지만, 여전히 내부 진입을 통한 정확한 감식은 쉽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현장 조사 결과 이랜드 패션 물류센터 화재 당시 건물을 지탱하고 있던 철재 빔과 콘크리트 기둥 등이 장시간 강한 열기에 노출돼 있던 탓에 추가 붕괴 위험이 크기 때문.
천안동남경찰서는 21일 오전 소방청과 국립소방연구원, 충남소방본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7개 유관기관 관계자 20여 명과 합동 감식에 나섰지만, 내부 진입은 하지 못했다.
이날 현장 감식에 착수한 합동 감식반은 정확한 화재 원인 및 발화 지점 등을 확인하기 위해 장시간 내부 진입을 위한 논의를 거쳤지만, 결국 현재 상황에서 내부 진입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했다.
실제 앙상하게 뼈대만 남은 물류센터 화재 현장은 당장이라고 무너져 내릴 듯 위태로운 모습이었다.
특히, 물류센터 북동쪽 방향은 물륜센터를 지탱하고 있던 기둥과 철재 빔 등이 모두 무너져 내려 안전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경찰과 소방당국 등 관계기관은 현재까지 확보한 내부 폐쇄회로 영상 등을 통해 물류센터 3층 끝 지점에서 불길이 치솟은 화면을 토대로 해당 지점이 발화 지점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아직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합동 감식반은 이날까지 확보한 영상과 추가적으로 확보되는 영상을 비교·분석해 정확한 발화 지점을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드론을 활용해 발화지점 감식이 가능한지 여부를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이날 현장 브리핑에 나선 김진현 천안동남경찰서 형사과장은 “내부로 진입해 감식을 하면 보다 정확한 발화 지점을 특정할 수 있겠지만 현재로선 내부 진입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필요하다면 드론을 투입해 불길이 시작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점을 확인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김 과장은 또 “현재 확보한 영상을 토대로 불길이 확인된 3층 끝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정확한 발화 지점이라고 특정할 수는 없다”며 “1층부터 3층까지 모두 연결돼 있어 1, 2층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수도 있어 정확한 발화 지점은 추후 확인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한편, 화재가 발생한 천안 이랜드 패션 물류센터는 철골·경량 철골 구조로 된 지상 4층∼지하 1층의 연면적 19만여㎡ 규모의 건물로 지난 15일 오전 6시 8분경 화재가 발생해 17일 오후 6시가 넘어서야 진화됐다.
불이 난 물류센터는 이랜드 패션 계열사 브랜드의 의류와 신발, 잡화 등이 4개 층에 걸쳐 적재돼 있었지만, 이번 화재로 모두 전소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