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 최적지 태안 선정···200마리 방사

13일 원북면 신두리 해안사구에서 진행된 소똥구리 방사행사. 태안군 제공.
13일 원북면 신두리 해안사구에서 진행된 소똥구리 방사행사. 태안군 제공.

[태안=최종암 기자] 1970년대 이후 국내에서 자취를 감춘 소똥구리가 우리나라 최대 해안사구이자 천연기념물 제431호인 태안 ‘신두리 해안사구’에 터를 잡게 됐다.

태안군은 13일 원북면 신두리 해안사구에서 소똥구리 200마리를 방사했다.

국립생태원이 주관한 방사행사에는 가세로 군수, 조도순 국립생태원장, 환경부·국립공원관리공단·금강유역환경청·문화재청 관계자, 모항초 학생, 지역주민 등 80여 명이 참여했다.

소의 배설물로 경단을 만들어 굴리는 소똥구리는 과거 한반도를 비롯해 아시아와 유럽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했으나, 최근 대부분 지역에서 절멸 또는 멸종위기에 있으며 국내에서도 1971년 이후 공식 발견 기록이 없는 상태다.

국립생태원은 소똥구리 복원을 위해 2019년 몽골 개체군을 국내로 반입, 인공 증식 기술개발에 나섰다. 방사 최적지 선정평가를 통해 5월 태안군을 1순위로 정했다.

태안군도 국립생태원 소똥구리 복원 연구에 함께 참여했다.

군은 2020년부터 사구 내 한우를 방목(2020년 2마리, 2021년 3마리, 2022년 3마리, 2023년 5마리)하고 모니터링을 진행하는 등 소똥구리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 조성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신두리 해안사구는 우리나라 최대·최고의 모래언덕으로 통보리사초, 모래지치, 갯방풍 등 희귀 식물을 비롯해 종다리와 금개구리 등 흔히 볼 수 없는 동물들을 만날 수 있는 생태계의 보고로 평가받는다.

신두사구는 지난 5월 ‘제3차 국립공원 계획변경’에 따라 태안해안국립공원으로 편입, 적극적인 복원 사업이 가능해졌다.

군은 이번 소똥구리 방사를 통해 사구의 생태계적 가치도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가세로 군수는 “멸종위기종을 지키는 일은 단순한 야생의 문제가 아니라 인류 생존문제와 직결되며 지속가능한 녹색미래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모두가 한 마음 한 뜻으로 지혜와 힘을 모아야 할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