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부터 신입생 모집, 정원 22명

충남도립대학교. 자료사진. 
충남도립대학교. 자료사진. 

[청양=디트뉴스 김다소미 기자] 충남도립대학교(총장 김용찬)가 내년부터 스마트팜학과를 신설키로 하면서 청년 농업인 유입과 스마트농업인을 육성해 농업‧농촌 구조를 개선하는 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특히 대학이 위치한 청양군과 함께 청년들이 스마트팜을 운영할 수 있는 공간인 ‘청년 맞춤 임대형 스마트팜 단지’ 조성에도 박차를 가한다. 

또 오는 2025년 스마트팜 학과 교육과정을 귀농귀촌 등의 과정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신설되는 스마트팜 학과 학생 정원은 총 22명으로, 학생 지도는 이문행 교수가 맡는다. 이 교수는 2000년부터 충남농업기술원에서 농업연구사로 재직, 시설원예연구 분야의 전문가다. 

다양한 연구를 바탕으로 농촌진흥청 등 유관기관에서 시설원예 기술과 적용 방법을 강의하며 실력을 입증했다.

충남도와 15개 시·군도 지난달 스마트농업 육성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협약에는 시군별 스마트팜 복합단지를 조성해 청년 농업인 정착을 지원하고, 스마트팜 전문인력 3000명을 양성하는 한편 관련 생산‧유통 시스템을 구축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에 따라 도와 시군은 2026년까지 도내 26곳(총 200만평 규모)에 스마트팜을 조성할 계획이다.

충남도립대도 도와 15개 시군의 정책 기조에 발맞춰 스마트농업인을 육성, 청년이 안정적으로 지역에 정착하고 영농활동에 전념할 기반과 지식을 배양한다.

김용찬 총장은 “4차산업혁명의 도래로 산업의 각 분야에서 변화의 물결이 파도처럼 밀려오는 상황에서 농업도 예외는 아니“라며 “이미 세계적인 미래학자들은 6차산업혁명의 핵심은 농업이라 입을 모을 만큼, 농업의 변화는 바로 스마트팜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