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통대전→대전 사랑카드 명칭 변경, 할인혜택 축소
기존 지역화폐 실질적 효과 미미
지역경제, 소외계층에 얼마나 보탬 될 지 미지수

대전의 신(新) 지역화폐 ‘대전 사랑카드’를 바라보는 시선이 두 가지로 나뉜다. 자료사진.
대전의 신(新) 지역화폐 ‘대전 사랑카드’를 바라보는 시선이 두 가지로 나뉜다. 자료사진.

[유솔아 기자] 대전의 신(新) 지역화폐 ‘대전 사랑카드’를 바라보는 시선이 두 가지로 나뉜다. 기존 지역화폐인 ‘온통대전’의 실질적 효과가 미미했다며 개편안을 반기는 측과 지역경제·소외계층에 얼마나 보탬이 될지 의구심을 품는 쪽이다.

지난 22일 대전시는 기존 지역화폐 '온통대전' 명칭을 바꿔 오는 5월부터 재발행하고, 지역화폐 정책을 대폭 변경한다고 밝혔다.

상시 캐시백 할인 혜택은 연 5~6회 특정 시기에만 운영하고, 환급률은 기존 5%에서 3%로 하향한다. 대신 소비 취약계층과 소규모 가맹점에 대한 지원은 확대한다. 

이에 대한 충청권 언론의 반응은 엇갈렸다.

먼저 <충청투데이>는 이번 개편이 온통대전의 소형상권 기여도가 낮게 판명됨에 따라 시행된 조치라고 했다. 

앞서 이 신문은 온통대전의 문제점과 관련된 기사를 세 차례 낸 바 있다. 온통대전에 막대한 예산이 투입돼 지방재정 부담을 야기했고, 도입취지와 목적성이 변질됐다는 내용이 골자다.

<충청투데이>는 이날 역시 온통대전의 문제점을 꼬집었다. 온통대전이 한 해 매출 3억 원 이하 소규모 가맹점에서 사용된 비율은 30%에 불과했고, 사용액이 신도심에 집중돼 원도심 균형발전 효과가 미미했다는 것. 다만 이 신문은 시가 온통대전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행정력을 발휘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MBC>는 ‘온통대전 대전사랑카드로, 효과는 글쎄’라는 제목으로 보도했다. 

이 언론은 캐시백 지급시기가 언제인지 불투명하고, 절차도 까다롭다 보니 지역경제와 소외계층에 실제 얼마나 보탬이 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또 바뀐 명칭과 혜택 변경 과정에서 시민의견 수렴, 공모 등의 절차가 없었다고 꼬집었다.

취약계층이 추가 캐시백 혜택을 받으려면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뒤 4월 중 대상자로 확정돼야 한다. 이 언론은 이와 관련해 “조건이 까다롭다. 시민들이 실제 사용하게 하려고 하는 것인지 의문”이라며 “이런 식이라고 하면, 이건 지역화폐 후퇴 정책”이라고 한 정세은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의 발언을 실었다. 

<대전일보>는 앞으로 지역화폐 발행규모와 할인혜택 대상이 더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신문은 소상공인과 취약계층 지원을 강화하는 개편안을 새롭게 선보인 만큼 당장 발행규모 축소나 폐지는 지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운용의 묘를 살리는게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