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칭에 '넥슨 후원' 포함, 실시협약서 공개
시-넥슨재단, 공공성 확보 상호 노력 약속

대전시 제공.
대전시 제공.

[한지혜 기자] 충청권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이 당초보다 1개월 지연된 내년 3월 개원한다. 그간 논란이 된 명칭도 '대전세종충남·넥슨후원 공공어린이재활병원'으로 최종 확정됐다.

지용환 대전시 보건복지국장은 14일 오전 11시 시청 2층에서 브리핑을 열고, 넥슨재단과의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건립·운영과 관련된 실시협약 체결 내용과 개원 준비 상황 등을 밝혔다.

시는 그간 논란이 된 어린이재활병원 명칭과 관련해 ‘대전세종충남·넥슨후원 공공어린이재활병원’으로 명칭을 최종 확정했다. 충청권역 어린이재활병원임을 나타내면서 건립에 100억 원을 기부한 넥슨 기업의 사회공헌사업 존중 필요성 등을 고려한 결정이다.

앞서 보건복지부는 후원 기업명을 명칭에 포함하는 것이 불가하다는 지침을 내렸으나, 이후 후원기업명 병기가 가능하다는 변경 지침을 전달한 바 있다. 

병원 개원은 당초 12월 준공, 내년 2월 개원 예정이었으나 공사자재 가격 인상, 원도급·하도급 간 대금 지급 지연 문제 등으로 인해 지연돼 내년 3월로 미뤄졌다. 

현재 공정율은 82%로 내부 공사를 진행 중이다. 다만, 시는 원도급·하도급 간 대금 미지급 논란과 관련해 충남대병원과 시공사, 건설사업관리단 등에 조속한 공사 이행을 촉구하고 있다.

시와 넥슨재단은 병원의 공공 운영에 적극 협력하기로 약속했다. 또 넥슨 측이 운영비, 재활프로그램 사업비, 병원 홍보비 등을 지원할 수 있다는 조항도 협약 내용에 포함했다. 또 협력관계 유지를 위해 넥슨 측이 희망할 시 병원 운영위원회에 위원 1명을 참여시킬 수 있도록 규정했다.

병원 이용 장애어린이들을 위한 특수교육 방식은 대전해든학교 소속으로 6개의 병원 파견학급을 운영하는 것으로 결정됐다. 학급 규모는 영·유아 2학급, 초등 2학급, 중·고등 2학급이다. 시는 대전시교육청에 개원 지연 시 특수학교 교사들이 가정 또는 시설로 직접 방문해 순회교육을 실시하는 안을 요청했다. 

다만, 개원 후 지속될 적자 운영 충당 방안은 남은 과제로 꼽힌다. 시에 따르면, 매년 적자 규모는 연간 30억 원으로 추정된다. 시는 불필요한 지출에 대한 구조조정을 실시하는 한편, 필수 인력 인건비 확보를 위한 국비 확보 주력, 기업 후원 유도 등에 노력하기로 했다. 또 충청권을 아우르는 병원인만큼, 세종시, 충남도와도 협력 관계를 구축해나갈 예정이다.

지용환 복지국장은 “넥슨재단으로부터 적극적인 후원자로서의 역할을 하겠다는 약속을 받았고, 후원과 함께 적자 운영 해소 등을 위한 자구책 마련에도 노력하겠다”이며 “장애어린이들과 부모들이 불편함이 없도록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해 차질없이 의료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세종충남·넥슨후원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서구 관저동에 지하 2층, 지상 5층, 낮병동 20병상을 포함한 총 70병상 규모로 조성된다. 국비와 후원금 각각 100억 원, 시비 294억 원 등 총 494억 원이 투입됐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