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주력 품목인 반도체의 수출부진으로 6월 산업생산이 32개월만에 감소세를 기록, 향후 경기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전국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6월 중 산업생산은 전년동기보다 2.7% 포인트가 줄어들면서 98년 10월이래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다.
반면 대전과 충남은 각각 8%, 3%가 증가해 대조를 나타냈다.
지난 2월 일시적으로 증가율이 높아지면서 실물경기의 조기회복 기대를 낳게 했던 산업생산은 세계경제 회복 지연과 반도체 경기악화로 최근 3개월 연속 증가율이 둔화된데다가 6월부터 감소세로 돌아섰다.
이는 6월중 16.1%나 감소한 반도체 산업생산에 기인한 것으로 전체출하량도 전년동월대비 5개월만에 감소했고 제조업 가동률은 전월대비 0.6%포인트 줄어든 74. 2%를 기록했다.
이에따라 반도체 재고는 1백10%나 늘어났으나 음향통신기기와 사무회계용 기계등의 감소에 힘입어 전체 재고는 전월보다 증가폭이 줄어들어 15.3% 늘어나는 데 그쳤다.
내수는 최근 소비심리 호전에 따라 증가세를 나타냈다.
내수용 출하는 음향통신기기와 자동차 등의 호조로 전년 동월대비 2.8% 포인트 증가했고 도·소매 판매도 4.1% 포인트가 늘어 지난달과 비슷한 증가세를 유지했다.
설비투자의 경우 2.9% 포인트가 줄어 8개월 연속 감소세가 이어졌지만 감소 폭은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현재의 경기상태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에 비해 0.4%포인트 낮아진 반면 향후 경기국면을 예측하는 선행지수 전년동월비는 0.7%포인트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