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신문 살리기운동 등 필요 -

 - 지역언론 연구모임 등도 활성화해야 -

 지방신문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방신문들이 자율적으로 통폐합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됐다.

 또한 지역민들도 지방신문에 대한 질책에 앞서 향토신문 구독 운동 등 지방신문 살리기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지적됐다.

 인제대 언론정치학부 김창룡교수는 28일 오후 유성 아드리아호텔에서 대전충남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과 한국언론재단 주최로 열린 ´지방신문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그리고 개혁과제´ 워크숍 ´지방신문 활성화 방안´ 발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김교수는 발제에서 ˝대형자본을 앞세운 중앙언론사의 지방침투 확산과 지역신문의 약진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방신문이 난립해 있는 것은 지방신문 전체가 공멸하는 암울한 미래를 예고한다 ˝고 적시하고 ˝이런 위기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지방신문들간 자율적인 통폐합이 절실하다 ˝고 말했다.

 김교수는 이를 위해 지방신문 육성발전을 위한 광역시별 ´지방언론사 발전협의체(가칭)´ 구성을 제안했다.

  김교수는 이어 ˝부산과 대구 등지에서는 ´우리 신문을 봐야 한데이. 아니면 우리 모두 죽는데이´라는 분위기로 대전 등지에서도 지방신문 살리기 운동을 벌여야 한다 ˝고 지적했다.

 김교수는 또한 ˝지방신문들은 보도자료에 의존하는 관변 기사에서 탈피해 지역주민들을 위한 현장중심의 지역밀착 보도 관행이 정착돼야 하며 지방언론사 기자들을 재교육시키고 언론인과 시민들이 동참하는 언론문화 연구모임 등이 지역별로 활성화돼야 한다 ˝고 말했다.

 임순철 대전일보 업무국장은 ´지방신문 무엇이 문제인가´라는 발제에서 ˝지방자치시대를 맞아 지방신문들의 중요성이 높아가고 있는 반면 지역민들은 중앙뉴스에만 관심을 보이는 등 지방신문들을 외면하고 있다 ˝고 아쉬워했다.

 임국장은 이와 함께 ˝지방신문들은 지역신문들의 급격한 성장, 지방신문들의 난립, 광고지들의 광고시장 침투 등으로 극심한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고 이 때문에 열악한 취재시스템이 붕괴되고 있다 ˝며 ˝지역민들이 어려움을 극복하도록 적극적으로 지방신문을 찾아주고 그 후에 지역소식을 충실히 다루도록 요구하는 지혜가 요구된다 ˝고 강조했다.


 < 이석호 기자 · ilbolee@hanmail.net >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