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자 대전매일 1면 TOP과 중도일보2면 박스기사로 처리된 ´대전 과학도시 무색´기사는 대전을 전국에서 제일가는 과학기술도시로 가꾸겠다는 대전시의 의지와 상반되는 결과가 나왔다는 점에서 대전시민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아울러 일부독자들은 기업의 연구개발비 얘기는 들어 보았어도 지자체의 연구개발예산이란 무엇을 의미하는지 의아하게 여기게 한 기사였다.

 지자체의 연구개발예산이란 자체 연구개발사업이나 연구기관의 연구개발 지원에 투자되는 금액을 뜻하는 것으로 최근 과학기술부내에 지방과학진흥과가 신설되면서 지난해부터 지자체별 연구개발예산액 규모가 발표되고 있다.

 과학기술부가 밝힌 자료를 토대로 작성한 이 기사에 따르면 대전시는 올해 연구개발예산은 83억6000만원으로 전국 지자체 중 15위를 기록했으며 지난해의 66억원(15위)과 같은 수준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대전시가 올해 산·학·연 컨소시엄사업, 두뇌한국사업(BK), 지역환경 기술개발센터 운영사업등에 사용한 예산이 연구개발예산의 범주에 속한다.

 자치단체별 연구개발 예산은 서울이 526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 434억원, 인천 246억원, 경북214억원, 충남 212억원, 경남 195억원, 부산 189억원, 대구 182억원, 전북 179억원, 광주와 충북은 167억원, 전남과 강원이 148억원, 제주도 113억원에 달했으며 울산만이 43억 5천만원으로 대전보다 적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를 두고 대전시 김창환 과학기술과장등 관계자들은 과학기술부가 대전시가 올린 연구개발 예산 중 ITS(첨단교통모델도시)사업예산 134억원을 건설사업예산이라고 빼버리는 바람에 상대적으로 연구개발예산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반박했다.

 이들은 또 대전시의 경우 대덕연구단지에 투자되는 국가예산이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대전시 예산이 덜 들어가는 것도 연구개발예산이 적은 이유이며 부산시의 경우 올해 400억원이나 투입하는 도시정보시스템을 대전은 이미 90년대초반에 70억원정도 들여 완성시켜 놓았다며 정보화에 있어서 만큼은 타도시를 앞서나가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대전시의 이같은 해명은 올해뿐만 아니라 지난해에도 대전시 연구개발예산이 66억원에 불과해 전국에서 15위 수준에 머물렀었다는 사실로 미루어 과학기술도시를 표방하고 있는 입장에서는 구차한 변명으로 밖에 치부될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이같은 변명보다는 대덕밸리의 앞날을 위해 대덕연구단지의 연구원, 벤처기업인, 중소기업인들을 포함한 다양한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 과학기술도시의 면모를 바로 세워보겠다는 야심찬 계획과 예산지원계획을 수립해 보는 것은 어떨지 제안해본다.

 지역언론 또한 생소한 개념의 용어를 독자들에게 자세히 설명해주고 타도시와 비교, 그동안 소요된 연구개발예산의 내역을 곁들여 보도했더라면 독자들의 공감대는 더욱 넓힐 수 있지 않았을까.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