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9일자 도하 언론에 보도된 대전의 건설업자 이세용씨 구속사건은 지역민들이 관심있어 하는 내용을 지방지보다는 중앙지에서 더욱 충실하고 비중있게 다뤄 지방지들이 지역민들의 알권리를 충족시켜 주지 못했다.

 이사건과 관련 지역신문들은 사건 관련자들을 이니셜로 처리해 오히려 궁금증을 유발시켰는가 하면 전후 진행상황을 무시한 채 단순 사건보도로 처리해 화제성 박스로 비중있게 다룬 중앙지와는 대조적이었다.

 이날 동아일보는 ´쇠고랑 찬 소송의 명수 - 대전지검 이모씨 구속 화제´라는 제목을 달아 지방판 톱기사로 처리했다.

 동아일보는 이 기사에서 법률지식이 해박한 이씨에게 거래하다 걸리면 살아남지 못하는 ´소송의 명수´라고 별칭한 뒤 대전문화방송 고영성기자, 윤은중 전 충청은행장 등이 이씨에게 당한 대표 인물이라고 소개했다.

 또한 동아일보는 이씨가 96년 국립과학수사연구소 문서허위감정 사건의 장본인으로 구속됐으며 검찰과 경찰에 폭넓은 인관 관계를 형성하고 있어 각종 비리 속에서도 무사할 수 있었다는 등 심층적인 취재를 통해 충실한 보도를 했다.

 한국일보는 ´대전시민단체 왜 이러나´라는 제목아래 검찰이 이씨로부터 수천만원의 뇌물을 받은 기독교봉사회 박용래 이사장과 김영배 사무총장을 조사중이며 이 때문에 YMCA내분에 이어 시민단체의 도덕성이 도마 위에 올라있다고 보도했다.

 한국일보는 박 이사장과 김 사무총장은 각종 사회단체 임원을 역임한 대전의 대표적인 사회참여적 목사들이어서 지역사회에 충격을 던져주고 있다며 이씨 구속사건을 통해 사회단체의 도덕성에 경종을 울려주었다.

 그러나 대전일보, 중도일보, 대전매일신문등 대전지역 유수 신문들은 이씨 구속사건이 지역사회에서 상당히 관심을 끌고 있는 사안임에도 보충 취재나 화제성 기사를 작성하기 보다는 단순한 사건보도에 그쳐 아쉬움을 남겼다.

 또한 게재된 기사도 지역 내에서 이씨에 대한 각종 풍문과 설이 난무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언급이 없이 단순하게 보도했으며 당사자 기명도 이니셜로 처리해 지방지를 본 독자들은 중앙지에서 알권리를 충족해야 하는 불편을 겪게 했다.

 이번 이씨 구속사건은 보도자료에 의존하는 지방신문들의 무기획, 무감각성을 단적으로 드러냈으며 지방신문들은 이런 무성의한 보도 행태 때문에 독자들이 갈수록 지방지를 외면한다는 점을 깊이 인식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