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세종의사당에 앞서 준공 흐름...연말까지 용역 토대로 기본계획 확정
내년부터 10억 원 규모 설계 착수...대통령 임기 내 완공 여부 초미의 관심
롤모델은 서울 효자동 '청와대'...정부세종청사 및 국회 세종의사당 연계 구상 주목

세종시 S-1생활권 '대통령 집무실' 후보지 전경. 국무총리 공관과 가까운 거리에 있다. 자료사진. 
세종시 S-1생활권 '대통령 집무실' 후보지 전경. 국무총리 공관과 가까운 거리에 있다. 자료사진. 

[세종=디트뉴스 이희택 기자] 대통령 제2(세종)집무실이 2027년 국회 세종의사당에 앞서 완공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행정안전부와 국토교통부, 행복도시건설청이 지난해 8월 발표한 세부 로드맵은 다소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계획대로라면 지난 6월까지 ▲제2집무실 기능·위치·규모 결정(2022년 하반기) ▲기본계획 수립 완료(2023년 상반기) 절차를 끝냈어야 했으나 현재 흐름상 건립 기본계획 수립 용역은 오는 10월말에나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 

행복청은 여기서 도출된 대안을 검토, 연말까지 기본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어 2024년 사업규모와 총사업비 도출, 건축 설계(국제 설계 공모) 착수 절차를 거쳐 2025년 즈음 착공 단계에 올라설 것으로 보인다. 

완공 시기를 놓고는 관측이 엇갈리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대로 2027년 4월까지 임기 내 준공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우선 있다. 정부가 대통령 집무실 건립을 국정과제 12번에 담는 등 의지를 보여왔기 때문이다. 

국민의힘 지도부가 지난해 8월 3일 오전 세종동(S-1생활권) 국회 세종의사당 예정 부지를 찾아 정상 추진 의지를 내보였다. 사진 왼쪽부터 최민호 세종시장과 이야기 나누는 원희룡 국토교통부장관,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정진석 국회부의장. 자료사진. 
국민의힘 지도부가 지난해 8월 3일 오전 세종동(S-1생활권) 국회 세종의사당 예정 부지를 찾아 정상 추진 의지를 내보였다. 사진 왼쪽부터 최민호 세종시장과 이야기 나누는 원희룡 국토교통부장관,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정진석 국회부의장. 자료사진. 

원희룡 국토교통부장관은 지난해 8월 세종동(S-1생활권) 세종의사당 예정지를 찾아 국회 세종의사당과 경쟁적 건립에 나서고, 2027년 동시 준공에 나서겠다는 약속도 했다. 

한켠에선 집무실 완공이 다음 정부에서 이뤄질 가능성도 제기한다. 임기 말 공간 배치보다 다음 대통령의 의중을 반영하는 것이 흐름에 맞다는 판단에서다. 

집무실 전반의 윤곽은 내년 하반기 10억 원 규모의 기본 조사 설계비 집행 흐름에서 확인될 전망이다. 

총사업비 추계액은 1년 사이 '4593억 원→3800억 원대'로 축소

지난해 행복청이 추계한 예산안 집행계획. 자료사진. 당시에는 대통령 집무실 예산이 최대 5000억 원 규모로 산출된 바 있다. 자료사진. 

다만 총사업비 예상 추계액(2023년 예산안 및 기금운영계획안)은 지난해 4593억 원(가추정액)에서 올해 3800억 원대로 축소되고 있다. 

기존 효자동 청와대 건물과 같은 면적으로 구상된 만큼, 너무 과도하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 당시 자료를 보면, 4593억 원은 기존 청와대 건물 연면적 7만 6193㎡를 적용한 공사비 2129억 원에 부지비 2245억 원, 설계비 135억 원, 감리비 74억여 원, 시설부대비 6억 8400만 원 등을 더해 산출했다. 

2027년 대통령 제2집무실, '기존 청와대·용산 집무실'과 어떤 차이 둘까

대통령 집무실 의제 경과(좌)와 2027년까지 건립 로드맵(우). 행복청 등 관계기관 제공. 
대통령 집무실 의제 경과(좌)와 2027년까지 건립 로드맵(우). 행복청 등 관계기관 제공. 

행복청이 추계한 사업비 배경에는 △대통령 관저와 집무공간이 위치한 청와대 본관 △외빈을 접견하는 영빈관과 상춘재 △직원 사무공간인 여민관, 경호시설 △군과 경찰, 경호처가 사용할 경외경비 시설 공간 등의 공간 구조 구상이 자리잡고 있다. 

옛 청와대 기능 구조에 따라 큰 틀에서 마련한 방안인 만큼, 최종 설계가 끝나봐야 대통령 세종 집무실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5월부터 국민들에게 개방된 청와대 전경. 이희택 기자. 
지난해 5월부터 국민들에게 개방된 청와대 전경. 이희택 기자. 

옛 청와대는 ▲대통령 관저(6093㎡) ▲집무공간과 영빈관, 춘추관, 여민 1~3관(직원), 상춘재 등 본관 및 비서실(3만 3000㎡, 약 700명) ▲춘추관(기자회견 및 출입 기자 공간) ▲녹지원(역대 대통령 기념 식수, 어린이날 행사 등의 장소) ▲경호청사와 충정관, 경비단 등 경호실(3만 7100㎡, 약 500명)을 포함해 연면적 7만 6193㎡에 근무자 1200명으로 활용되다 현재는 대국민 개방 공간으로 자리잡고 있다. 

2027년까지 세종 임시 집무실 기능은 현재 정부세종청사 1동 내 귀빈(VIP) 집무실(1000㎡ 규모)로 유지한다. 

한편, 행복청 차장을 단장으로 한 대통령 제2집무실 건립 추진단이 로드맵 실행에 나서고 있다. 

과거 세종시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언급된 청와대 제2집무실 후보지. 국회 세종의사당 후보지 A의 맞은편에 있다. 자료사진. 
과거 세종시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언급된 청와대 제2집무실 후보지. 국회 세종의사당 후보지 A의 맞은편에 있다. 자료사진. 
내년 정부 주요 기관별 세종시 국비 관련 예산. 행복청 제공. 
내년 정부 주요 기관별 세종시 국비 관련 예산. 행복청 제공. 
지난 2012년 정부세종청사 1동 4층에 설치된 대통령 세종 집무실. 공식 명칭은 귀빈(VIP) 집무실. 윤석열 정부가 이곳을 그대로 사용하고 2단계 중앙동 사용안을 폐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논란이다. 자료사진. 
지난 2012년 정부세종청사 1동 4층에 설치된 대통령 세종 집무실. 공식 명칭은 귀빈(VIP) 집무실. 윤석열 정부가 이곳을 그대로 사용하고 2단계 중앙동 사용안을 폐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논란이다. 자료사진.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