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톡톡: 백 네 번째 이야기] 미디어 생태계는 독자가 좌우하는 것

지난 20일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열린 ‘카카오 뉴스 검색 서비스 차별 이슈와 과제’ 정책토론회 참석자들이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류재민 기자
지난 20일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열린 ‘카카오 뉴스 검색 서비스 차별 이슈와 과제’ 정책토론회 참석자들이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류재민 기자

지난 20일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공동 주최한 정책토론회에 기자들이 대거 몰렸다. 취재가 목적이었겠지만, 표정에는 침통함과 비장함이 얼비쳤다. 이날 토론회는 카카오 뉴스 검색 서비스 차별 이슈를 다뤘기 때문이다. 

포털에 뉴스를 제공하는 언론사는 콘텐츠 제휴사(CP사)와 검색 제휴사로 나뉜다. 검색 제휴사는 포털 검색 시 뉴스를 볼 수 있지만, CP사는 전재료(뉴스를 제공하는 대가로 받는 돈)를 받고 뉴스를 공급한다는 차이가 있다.

다음(daum) 운영사 카카오는 최근 뉴스 검색 노출 기본값을 제한했다. 콘텐츠 제휴사(CP사)를 제외한 1,000여 개 검색 제휴 언론사를 사실상 뉴스 검색에서 뺀 것이다. 전체 언론사가 아닌 CP사 기사만 보이도록 했다. 모든 언론사 기사를 보려면 ‘뉴스 검색 설정’을 변경해야 한다. 

민주당 의원들은 토론회에서 다음 뉴스 검색 제한에 “좌시하지 않겠다”며 사실상 전면전을 선포했다. 기자 출신인 정필모 의원은 인터넷망을 인간이 만든 ‘자유제’라고 규정했다. 그는 “포털을 통해 정보, 지식, 뉴스가 자유롭게 유통되지 않으면 헌법상 보장된 언론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는 소지가 많다”고 주장했다. 다음의 뉴스 검색 제약이 부당한 조치라는 얘기였다. 

왜 갑자기 이런 조치를 한 걸까? 다음 카카오는 “이용자의 선호도를 충분히 고려하고, 양질의 뉴스 소비 환경 마련을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하지만 미디어 생태계는 포털이 아닌, 독자가 좌우하는 것이다. 뉴스 전달자에 불과한 포털이 무슨 권한과 자격, 기준으로 뉴스의 질을 판단한단 말인가. 

다음이 멋대로 던진 돌멩이에 직격탄은 지역 언론사와 지역민이 맞고 있다. 다음의 일방적 조치 이후 지역 언론사 기사 조회 수 급감이 이를 방증하고 있다. 이는 곧 지역민의 알 권리를 원천 차단하는 행위와 다름없다. 

충청권 CP사는 <대전일보> 한 곳뿐이다. 과거 ‘1도(道) 1사(社)’제로 회귀하자는 말인가. 4차 산업혁명과 AI(인공지능)시대에? 이의춘 한국인터넷신문협회장은 토론회에서 “80년대 언론통폐합처럼 헌법상 평등권과 언론출판 자유를 근간부터 훼손하는 방식으로 해결하자는 시대착오적 주장”이라고 비판했다.

이정문 의원(충남 천안병) 역시 “중앙 언론의 경우 콘텐츠 제휴사로 등록돼 있지만, 상당수 지역 언론은 기사가 검색되지 않아 아무리 좋은 기사를 써도 노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전문성 있는 기사도 노출이 힘든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인터넷신문협회는 현재 카카오를 상대로 ‘뉴스 검색 서비스 차별 중지’ 가처분 신청을 한 상태이다. 결과는 연초에나 나올 듯싶다. 가처분 신청이 받아들여지길 기대하지만, 기대한 결과가 나올진 미지수다.

<디트뉴스>를 비롯한 충청권 12개 언론사는 22일 "바뀐 시스템의 즉각 복원"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거대 포털이 휘두른 ‘권력’이란 횡포와 차별에 지역 언론이 사막 한복판 ‘고사목’ 신세가 되지 않기를 간절히 희망한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