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문산 개발, 민간 투자 없이 실현 불가능
호국보훈파크 용역 시행, 민자 개발 검토

산과 바다 조망이 가능한 목포 해상케이블카 모습 전경. 목포해상케이블카(주) 제공.
산과 바다 조망이 가능한 목포 해상케이블카 모습 전경. 목포해상케이블카(주) 제공.

[한지혜 기자] 민선 8기 대전시에서 갈등 요소가 되고 있거나 기대를 모으고 있는 개발 사업이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을지 우려가 나온다. 우후죽순 전국적으로 난립하고 있는 케이블카 설치나 정부 국정과제에 포함된 호국보훈파크가 그 예다.

시는 이달 초 전남 목포와 진도·해남, 경남 하동 등 케이블카 운영지를 직접 방문해 사업 실현가능성을 살폈다. 앞서 이장우 시장은 취임 후 즉각 보문산 개발 재추진 의지를 내비치며 고층전망대 건립과 함께 케이블카 설치 검토 착수를 지시한 바 있다.

목포 해상케이블카는 연장 3.23㎞ 길이로 지난 2019년 9월 개장했다. 당시 사업비는 1000억 원으로 완공까지 6년이 걸렸다. 주변 해상 풍경과 도심 전망이 훌륭하고, 유달산 야간경관을 조망할 수 있다는 점이 특색으로 꼽힌다. 연 이용객은 약 150만 명이다.

진도·해남 명량해상케이블카는 연장 0.96km로 길이가 짧다는 단점이 있지만, 최근 몇 년 사이 울돌목 등이 명량대첩지로 각광받으면서 잠재력이 커지고 있다. 또 하동 금오산케이블카(연장 2.5㎞)는 산 전망과 함께 한려해상국립공원 절경을 함께 즐길 수 있고, 인근에 짚라인 시설로 시너지를 확보했다. 추정 이용자 수는 연 100만 명이다.

규모의 차이는 있으나, 시가 답사한 케이블카 모두 민자 100%로 건설됐다. 전국적으로 케이블카는 총 50여 곳이 운영되고 있으나, 이중 흑자를 내는 곳은 해상케이블카를 운영 중인 통영, 여수, 목포 등 한손에 꼽는다. 사업 수익성을 확보하지 못하면, 매년 적자를 내는 애물단지로 전락하게 되는 셈이다. 

조성 부지 제약, 수익성 확보 난관 

시는 보문산 케이블카 건립 시, 정거장 설치 면적, 보문산성 등 전망 확보가 가능하다는 판단이다. 또 종합개발계획을 수립, 워터파크, 숙박시설 등을 연계할 시 민간 투자 유치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조성 부지가 개발이 제한되는 보전녹지지역에 속해 문화재청 허가를 받는 등 절차가 복잡하고, 고정적인 운영 수익을 낼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는 점은 난관으로 꼽힌다. 또 수익 관점에서도 케이블카를 이동수단의 목적으로만 삼을 경우 사업성이 부족하다는 데 시도 동의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케이블카는 민간에서 운영하는 추세고, 공공운영의 경우 야간 운행 등 제약이 많고, 전문성도 부족할 수밖에 없다”며 “대전 인구, 인근 오월드 방문객 등을 고려하면 고정 이용객은 있을 것으로 예상하나, 타 도시와 대전이 자연환경적으로 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어떻게 수익성을 확보할 것인지는 좀 더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이자 이장우 시장 공약이기도 한 호국보훈메모리얼파크도 규모가 커지면서 민자 개발방식 검토가 불가피하다. 호국보훈파크는 전국 최대 규모의 추모·휴양 테마파크를 목표로 삼고 있다.

시 관계자는 “내년 1월 용역이 완료될 예정”이라며 “취지와 규모 등을 고려하면 현재로서는 수익을 내기 어려운 구조기 때문에 향후 다른 사업이 추가될 수 있다. 개발 방식과 관련해서는 용역을 통해 확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