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서울’ 등 중앙발 이슈에 지역 현안 뒷전..대응도 ‘소극적’

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가 5개월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충청권에서는 이렇다 할 이슈를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다.
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가 5개월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충청권에서는 이렇다 할 이슈를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다.

[류재민 기자] 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총선)가 5개월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충청권에서는 이렇다 할 이슈를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다. 지역 정치권은 중앙 발(發) 이슈에 기민하게 반응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지역 발전을 위한 동력을 찾는 노력도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전국적인 이슈로 떠오른 ‘김포시 서울 편입’은 충청권이 추진 중인 메가시티와 맞물려 있지만, 뚜렷한 입장 표명은 없는 실정이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지난달 30일 경기도 김포시의 서울시로 편입을 당론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김포를 시작으로 서울과 생활권이 겹치는 주변 도시를 추가 편입하는 ‘메가 서울’ 구상까지 나오면서 수도권 민심이 술렁이고 있다. 

서울시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패배 이후 ‘수도권 위기론’에 직면한 여당의 출구 전략으로 읽히는 대목이다. 하지만 수도권과 함께 내년 총선 최대 승부처로 꼽히는 충청권은 ‘메가시티’ 이슈에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모양새다. 

충청권 메가시티, 일부 단체장만 입장 표명
현역 의원, 내년 총선 공천에 '눈치 보기' 급급

일부 광역단체장이 “지방 메가시티가 우선”이라는 발언에 그치는 수준이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지난 6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내 발전의 균형을 위해서는 서울에만 집중되는 것이 아니라 지방도 동등한 발전 기회를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민호 세종시장 역시 같은 날 기자회견에서 “김포시의 서울시 편입 추진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해 접근할 사항은 아니”라고 했지만, 다분히 원론적이라는 해석이다. 

충청권은 그동안 지역 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대전, 세종, 충남, 충북을 하나의 광역생활경제권으로 묶는 ‘충청권 메가시티’를 추진해 왔다. 

민선 8기 국민의힘 소속 광역단체장으로 지방 권력이 바뀐 이후에는 ‘특별지방자치단체’ 합동추진단을 가동하고 있지만, 별다른 진척은 보이지 않고 있다. 행정안전부가 1년 기한이던 합동추진단 존속 기한을 1년 추가 연장하면서 충청권 메가시티가 사실상 물 건너간 것 아니냐는 비관적 전망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 

지역사회에서는 메가시티 추진이 민선 7기 더불어민주당 소속 광역단체장 때부터 진행해왔다는 점에서 여야 정치권 모두가 해당 이슈에 공동전선 형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국립대 의대 정원 확대도 '소극적'
"단일대오 결론 도출, 정부와 중앙당 전달해야"

정부의 국립대 의대 정원 확대 계획 역시 로드맵 마련에 소극적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대전에서는 충남대와 카이스트가 의대 정원 확대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고, 충남은 공주대에 의대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 정치권은 의료계 반발과 대학 간 이해관계를 의식한 듯 목소리를 크게 내지 않고 있다. 경남도와 창원시, 창원지역 국회의원들이 지난 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지역 의대 설립 관련 토론회를 여는 등 발 빠른 움직임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권오철 중부대 초빙교수는 8일 <디트뉴스>와 통화에서 “지역 국회의원들이 내년 총선 공천 때문에 중앙 눈치만 보고 정치공학적 셈법에 매몰되면서 지역 이슈가 뜰 만한 여건 마련이 어려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메가시티의 경우 개별적으로 목소리를 낼 게 아니라, 충청권 여야가 단일대오를 이뤄 결론을 도출한 다음 중앙당과 정부에 전달해야 한다. 지금이 바로 적기”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