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대전을 방문해 기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있는 정세균 국무총리. 자료사진.
지난 8일 대전을 방문해 기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있는 정세균 국무총리. 자료사진.

지난해 하반기와 올 상반기 대전을 뜨겁게 달궜던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 세종이전 논란’이 정세균 국무총리 대전방문을 통해 일단락되는 모습이다. 정 총리가 지난 8일 지역언론 간담회를 통해 중기부 이전대책과 관련해 크게 세 가지를 약속했기 때문이다.

그 중 첫 번째는 기상청과 기상산업기술원, 한국임업진흥원 등 3개 기관은 대전으로 이전하고, 당초 거론됐던 에너지기술평가원 또는 그에 상응하는 1개 기관 이전은 향후 1∼2개월 이내에 추가 확정한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이 같은 기관이전이 ‘혁신도시 시즌2’와 연계될 경우, 대전으로서는 밑지는 장사를 한 셈이 된다. 정 총리는 이 같은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혁신도시는 혁신도시대로 추진하는 것이고, 이것은 별개로 이전하는 것”이라며 ‘기상청 플러스 3개 기관 이전’이 향후 이어질 혁신도시 시즌2와 무관하다는 점도 거듭 강조했다. 이것이 두 번째 약속이다. 

마지막 세 번째로 정 총리는 ‘향후 청 단위 기관의 대전집결 원칙’에 대해서 언급했다. 앞선 두 가지 약속은 이미 여러 차례 반복돼 왔지만, 총리의 입을 통해 공식화됐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마지막 세 번째 약속은 향후 대전이 ‘청 단위 기관’을 유치하는 명분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실제로 정 총리는 “산업안전 관련 본부를 올해 7월 1일부터 발족시키는데, 다음 정부에는 청단위로 승격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며 “이 경우 어디에 유치할 것이냐. 당연히 대전에 올 수 밖에 없지 않느냐. 청단위 신설이 있으면 대전이 1차 대상지가 될 것이고, 대전 중심으로 청을 유치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물론 세 번째 약속이 ‘다음 정부’까지 내다봐야 할 먼 미래의 약속이라는 점에서 단순한 립 서비스로 여길 수도 있다. 그러나 대전은 행정부 최고 책임자로부터 ‘청 단위 대전 집결 원칙’을 확인한 만큼, 향후 정부조직 개편과 청사재배치 과정에서 이 원칙을 기관유치 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정세균 총리의 세 가지 약속은 정치적으로도 중요한 약속이다. 정 총리가 차기 대선주자 중 한 명으로 거론되기 때문이다. 정 총리가 대전과 인연을 강조하고, 약속에 무게감을 두는 것 역시 충청민심에 대한 구애로 해석할 여지가 많다. 따라서 대전 민심 또한 정 총리에 거는 기대가 크다. 정 총리가 대전에 제시한 약속을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