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최초 문제 제기 당시, 보존 처리 완료
"암반 표면 훼손 우려에 일부 덧칠층 남겨"

우암 송시열 선생이 새긴것으로 추정되는 '낙화암' 글씨에 칠해진 빨간 페인트 칠을 두고 문화재 훼손 방치 논란이 일었다. 하지만 문화재청과 부여군은 "방치된 게 아니라, 10여 년 전 보존처리된 부분을 유지한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 정은진 기자.
우암 송시열 선생이 새긴것으로 추정되는 '낙화암' 글씨에 칠해진 빨간 페인트 칠을 두고 문화재 훼손 방치 논란이 일었다. 하지만 문화재청과 부여군은 "방치된 게 아니라, 10여 년 전 보존처리된 부분을 유지한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 정은진 기자.

[부여=디트뉴스 김다소미 기자] ‘삼천궁녀’ 설화로 유명한 부여 낙화암이 문화재 훼손 방치 논란에 휩싸였다. 문화재청과 부여군은 “방치한 게 아니”라고 일축했다.

앞서 한 언론은 전 국민의 공분을 샀던 ‘경복궁 담장 스프레이 낙서’를 언급하며 “낙화암에 붉은색 페인트가 칠해진 채 10년 째 방치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최초 문제가 있었던 지난 2014년 당시, 한국전통문화대학교가 낙화암 바위 글씨에 훼손 부위를 보존처리 한 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7일 <디트뉴스> 취재결과, 낙화암 글씨는 최소 1950년 대부터 옅은 붉은색을 띄고 있었다. 최초 페인트칠 시기는 알 수 없지만, 3회 이상 덧칠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글씨는 사적 제5호 부소산성 백마강 변 낙화암 한 켠에 새겨져 있고, 조선 후기 문신 우암 송시열이 쓴 것으로 알려졌다.

낙화암 글씨는 부여유람선사업조합이 운영하는 유람선인 ‘황포돛배’를 타야만 볼 수 있는데, 2014년 당시 조합이 관람객들에게 바위 글씨가 잘 보이도록 붉은 페인트로 덧칠하면서 ‘문화재 훼손’ 논란이 불거졌다.

당시 국립문화재연구소는 페인트 시료채취 및 테스트를 진행한 뒤 아크릴 공중합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도료임을 확인했다.

보존처리를 맡은 전통문화대는 메스, 해라 및 압축공기를 이용한 물리적 제거와 화학적 제거를 진행했다.

암반표면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부 페인트칠은 남겨뒀고, 현재는 당시 최대한으로 처리한 보존이 유지되고 있는 상황.

문화재청 관계자는 “현 상황에서 사실상 더 이상 할 수 있는 조치가 없다”며 “당시 암반 표면 훼손 최소화를 위해 일부 덧칠층을 남겨뒀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여군 관계자는 “방치한 게 아니다. 당시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취한 후 유지하고 있는 상태”라며 “추후 자연 퇴색을 기다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