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기천의 확대경

며칠 전, 한 선배로부터 전화가 왔다. “연금공단에서 보낸 ‘연금’지와 ‘달력’을 받았는데 올해는 두 개가 한 봉투에 들어있었다”는 것이었다. 필자가 제안했던 것이 떠올랐다며, 이제라도 이루어졌으니 보람이 있겠다는 내용이었다.

몇 년 전 12월, 연금지와 탁상용 달력이 사흘 간격으로 우송되었다. 불합리하다고 판단되어 연금공단 콜센터에 전화했다. “두 가지 인쇄물은 크기가 비슷하므로 발송시기를 조정하여 하나의 봉투에 담아 한꺼번에 보내면 좋겠다. 이렇게 하면 봉지 값과 우송료, 인건비 등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특히 환경을 생각할 때 공공기관인 공단에서 솔선하여 비닐봉지를 종이봉투로 대체하여야 할 것”이라는 의견도 덧붙였다. 반응이 미덥지 않아 며칠 후 다시 관계 부서에 전화하여 의견을 물었다.

그러자 “우송료 관계는 우정사업본부와 계약한 상황이라 당장 변경하는 것은 어렵고, 종이봉투는 인쇄물이 물에 젖을까 염려되어 비닐봉지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답변이었다. 결국 제안을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것이었다.

그러던 중 몇 년 만에 두 가지를 한 봉지에 넣어 보낸 것이다. 연금지는 한 달에 20만 부가 발행되므로 우송료만 대강 계산해도 2억 원 가까이 절약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여기에 봉지 값과 인건비를 고려하면 더 많이 아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매월 공공기관과 단체, 쇼핑몰 등에서 여러 종류의 인쇄물을 받는데, 대부분 비닐봉지에 들어있다. 비닐봉지는 값이 저렴하고 사용하는데 편리하여 주로 쓰인다. 그러나 비닐은, 분해되는데 최소 20년에서 수백 년이 걸리므로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하여 생분해되는 원료를 사용하고 있으나, 단가와 내구성 문제로 널리 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더구나 사용 후에 일반 비닐과 구분하여 처리하지 않는다면 그 취지나 의미는 상실되고 만다. 서양에서는 비닐과 플라스틱을 같은 개념으로 사용한다. 비닐봉지 한 장이 175만 개의 미세 플라스틱으로 쪼개져서 토양은 물론이고 강과 바다까지 오염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가기천 전 서산시 부시장, 수필가
가기천 전 서산시 부시장, 수필가

강이나 바다로 떠내려간 미세 플라스틱을 물고기가 먹으면 체내에 축적되는데, 결국 사람이 먹게 된다는 것이다. 죽은 고래나 상어 뱃속에 비닐봉지, 스티로폼 조각이 가득 들어있는 사진을 본 적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인당 연간 비닐봉지 사용량이 400여 개가 넘는다고 하니 하루에 평균 한 개 이상 사용하는 셈이다. 더구나 비닐봉지에는 주소와 이름을 쓴 라벨이 붙어 있어 일일이 떼어야 하는데, 잘 떨어지지 않아 분리배출 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마트나 빵집에서는 비닐봉지 사용을 금지할 만큼 비닐 사용을 억제하고 있으나, 아직도 뚜렷한 감량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비닐봉지 사용을 줄이는 일은 행정기관이나 공공기관·단체가 앞장서야 한다.

모범을 보이지 않고 민간에게 계도하거나 단속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 돈이나 편의성만으로 환산할 수 없는 환경보전의 가치와 시급성을 새롭게 인식하고 비닐봉지 대신 종이봉투를 사용하여야 한다.

종이봉투가 빗물에 젖을 것으로 염려된다면 우선 아파트, 빌라 등 공동주택, 오피스텔, 공공기관이나 사업체 등 옥내에 우편함이 마련된 곳과 영업장만이라도 종이봉투에 넣어 보내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하면 비닐봉지 사용량의 80% 이상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종이도 자원이라고 생각한다면 근본적으로는 봉투 사용 자체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앞으로 맞이하게 되는 여름은 올해가 가장 시원한 해가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그만큼 기후변화를 걱정한다. 대책마련에 공공기관이 나서야 한다. 환경오염, 나아가 기상이변을 막기 위한 노력으로 비닐봉지 사용을 줄이는 것도 그 가운데 하나이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