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트의 눈] 지역 기자들이 배워야 할 ‘기본자세’

국회 기자실이 있는 국회 소통관 전경. 자료사진.
국회 기자실이 있는 국회 소통관 전경. 자료사진.

중앙언론사 기자들은 지역 언론사 기자를 색안경을 쓰고 보는 경향이 있다. 이유는 다양할 것이다. 중앙 정부의 공식 발표나 정치권 소식을 먼저 보도하기 때문에 상대적인 경쟁력이 높다는 우월의식을 가질 수 있다. 지역 언론 대다수가 주요 포털 CP(콘텐츠제휴)사로 등록되지 않았다는 점도 선입견이 들게 하는 이유 중 하나일 수 있다. 

지난주 신입 기자 연수 프로그램 차 국회를 출입하며 방송사와 통신사, 지역 일간지 등 다양한 기자들의 군상을 접했다. 그리고 왜 지역 기자들이 앞서 말한 공간적·구조적 이유와 별개로 편견의 대상인지 깨달았다. 거꾸로 말하면 지역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이른바 ‘촌 기자’라는 소리를 듣지 않을지 배웠다. 

국회에서 본 기자들은 대부분 공격적이었다. 이들은 여야 대변인 브리핑이 끝난 후 ‘백 브리핑’에서 날카로운 질문을 던졌다. 대변인에게서 원하는 대답을 얻지 못했다면, 집요하게 따라붙어 다시 질문했다. 

이는 충남도청을 출입하면서 보기 어려운 광경이었다. 지역에서는 질문하는 기자를 오히려 ‘튀는 기자’라고 눈치 주고, 질의응답 시간이 길어지는 걸 기자들 스스로 극도로 꺼린다. 맥락에 맞지 않는 개인의 민원성 질문을 던지는 기자들도 많다. 

충남도청 기자실 한편에 마련된 중앙언론사 부스 모습. 이곳은 늘 비어있다. 도청에서는 출입 등록 언론사 대비 자리가 부족해 종종 자리싸움이 일어나기도 한다. 유솔아 기자.
충남도청 기자실 한편에 마련된 중앙언론사 부스 모습. 이곳은 늘 비어있다. 도청에서는 출입 등록 언론사 대비 자리가 부족해 종종 자리싸움이 일어나기도 한다. 유솔아 기자.

국회 소통관에서는 기자실 부스 사용료로 언론사마다 매달 2만 원씩 내고 있다. 십 원 한 푼도 내지 않고 마치 자기 사무실처럼 기자실을 사용하는 지역과 대조적이다. 국회 기자실이 국민의 혈세를 들여 만든 공적인 장소라는 점에서 사용료 납부는 합당하다고 여겨졌다.

그리고 국회 기자실을 이용하는 기자들은 매달 정해진 일수를 출석해야 한다. 이를 어기면 기자실을 이용할 수 없는데, 기자로서 책임을 지도록 하는 정당한 조치라고 생각했다. 지역에는 기자실 부스에 책이나 개인 물품을 쌓아두고 장기간 출입하지 않는 기자도 있기 때문이다. 

또 도청 기자실 한편에는 중앙언론사 자리가 늘 비어있다. 그 기자는 1년에 한두 번 올까 말까 한다. 지난 1월 말 기준 도청 출입 등록 언론사는 284곳이다. 그러나 기자실 부스는 60개 남짓에 불과해 종종 자리싸움이 일어나기도 한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는 기자실을 개방형으로 과감하게 개편할 필요가 있다. 국회 기자실 부스 유료화와 출석 일수 제도 역시 취재 현장에서 열심히 뛰고 있는 ‘찐 기자들’에게 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중요한 건, 기자 스스로 맡은 역할과 소임이 무엇인지 ‘기본 인식’을 가지고 행동해야 한다는 것이다. 때로는 지역의 눈으로 중앙을 바라보고, 때로는 중앙의 눈으로 지역을 살피는 관점의 확장도 필요하다. 그것이 곧 ‘촌 기자’ 소리를 듣지 않기 위한 지역 기자들의 기본 아닐까.

키워드

#디트의눈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