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서비스센터 9곳 중 5개 수도권 집중
대전시, 스토킹 피해자 보호시설 ‘전무’
반려동물 장례시설 부재로 불법 투기↑

전국 테슬라 서비스센터 위치. 서비스센터 9곳 중 수도권에 5곳이 집중돼있다. 나머지는 각각 대구, 광주, 부산, 제주다.(카카오맵 화면 갈무리)
전국 테슬라 서비스센터 위치. 서비스센터 9곳 중 수도권에 5곳이 집중돼있다. 나머지는 각각 대구, 광주, 부산, 제주다.(카카오맵 화면 갈무리)

[유솔아 기자] 유독 충청권에만 ‘없는 것’이 많다.

최근 안전 문제로 이슈가 된 테슬라 서비스센터부터 스토킹 피해자 전담 보호시설, 반려동물 장례시설 등이다. 이들의 부재는 오롯이 시민 불편으로 돌아가고 있다.

충청권 언론은 지난 15일 대전·충남에 없는 것들을 살폈다. 이로 인해 불편을 겪고 있는 주민들의 목소리를 전했다.

먼저 <대전일보>는 테슬라가 유독 충청권을 홀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테슬라 서비스센터(센터)가 권역 중 유일하게 충청 지역에만 없기 때문. 전국 서비스센터 9곳 중 수도권(서울·경기)에 5곳이 집중돼있다. 테슬라가 수도권 집중화를 고려해 지난해 대구와 제주에 센터를 확충했지만, 충청권에는 건립 계획조차 없는 상태다.

<대전일보>는 충청권 외면에 따른 불편은 모두 소비자의 몫으로 돌아가고 있다고 했다. 대전시청 기준 가장 가까운 센터는 경기 용인과 광주로, 왕복 4시간이 소요된다. 기사 말미에는 “센터가 주말에 운영하지 않아, 평일에 연차를 쓰는 것 외에는 답이 없다. 전라·경상권에 있는 센터가 충청권에 없어 답답하다”는 한 테슬라 이용자 말을 실었다. 

<중도일보>는 대전 지역 스토킹 범죄가 늘고 있지만, 피해자를 위한 보호시설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스토킹 피해자들이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 시설에 머무르면서 지원받고 있지만, 보호 효과와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중도일보>는 스토킹 피해자 전담시설 확충을 위한 대전시 움직임이 더디다고 지적했다. 자체적 보호시설을 마련해 운영하는 서울시 상황과 상반되기 때문. 또 대전시는 여성가족부가 시행하는 스토킹 피해자 주거 지원 사업을 위한 지자체 공모에도 무방비 상태다. 오는 7월부터 시행되는 스토킹 피해자 지원 시설 의무 설치 관련 법에 대한 대비도 전혀 없다고 덧붙였다. 

<금강일보>는 지난 12일 대전지역 내 반려동물 장례시설 부재로 시민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로 인해 불법사설업체 이용과 불법 방식(야산 투기)이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대전시가 반려동물 장례시설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법적 규제로 속도를 내지 못하는 상태다. 특히 화장 시설 부지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난관이라고 강조했다. 시가 기준 완화를 위해 농림축산부와 협의했지만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이 대목에서 “지역적 요건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반려동물 양육 인구가 늘고 있는 만큼 대책 마련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시 관계자 말을 전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