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충남의 힐링고전]

김충남 강사.
김충남 강사.

내가 지금 윗사람으로부터 총애와 신임을 받고 있다. 어떻게 해야 할까? 
채근담에서는 말했다 ‘총애 속에서 재앙이 싹트나니 그러한 고로 뜻이 이루어 졌을 때 머리를 돌려 살펴 보아라 (恩裡 由來生害 故 快意時 須早回頭) 하였다. 윗사람의 총애는 언제까지나 영원할 수 없다. 자칫 윗사람의 총애가 자신을 파멸시키는 화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총애에 빠져만 있지 말고 언제나 자신을 성찰하여 화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때가 되면 물러날 수 있는 용기와 마음의 여유를 지녀야 한다. 

윗사람의 총애, 어떻게 다스려야 할까?

▲ 총애, 영원하리라 착각마라!

동서고금의 역사 속에 등장한 수많은 영웅호걸들이 큰 공적을 세우는 데는 뛰어난 재능을 발휘 하였으나 안타깝게도 겸손을 지키는 데는 무능했기 때문에, 오만했기 때문에, 탐욕을 절제하지 못했기 때문에 비명횡사의 종말을 맞이한 것이다. 

중국 역사 속 두 인물을 살펴보겠다. 유방의 한나라 건국의 일등 공신은 ‘한신’과 ‘장량’이 다. 한신은 한나라 건국 후에도 유방의 총애와 신임 속에 자신의 권력욕을 불태웠다. 그러나 지나친 권력욕이 자신의 명을 재촉하는 재앙이 되어 결국 반란을 꾀하려 했다는 모함을 받고 유방에게 죽임을 당하게 된다. 이때 한신은 토사구팽(兎死狗烹) 이라는 말로 유방을 원망하면서 죽었다 한다. 

일등공신인 ‘장량’ 역시 한 왕조 건국 후 얼마간 유방의 스승이 되어 권세와 부를 누렸다. 그러나 그는 멈출 때를 알았고 물러날 때를 알았다. 장량은 “지금은 이 세치 혀로 황제의 스승이 되었고 만호의 봉읍을 받고 지위는 열후에 올랐으니 나는 매우 만족한다. 이제는 세상사 모두 잊고 적송자의 뒤를 따라서 노닐고자 한다” 라고 말하고는 은거 생활을 하며 편안한 여생을 보냈다 한다. 

이처럼 한 사람은 총애가 영원하리라 착각하고 끝없이 탐하려 했다. 결국 그것은 재앙의 칼이 되어 그 칼에 비명횡사 하였다. 또 한 사람은 물러 날 때를 알았기에 적당할 때 떠났다. 그래서 재앙의 칼을 피하게 되어 천수를 누릴 수 있었다. 

득총사욕(得寵思辱) 이라 했다. 윗사람의 총애를 받으면 언젠가 욕됨이 이를 것을 염두에 두라는 것이다. 그리하여 총애를 받을수록 겸손함을 잃지 말 것이며 언제나 물러 날 수 있는 마음의 준비를 하라는 것이다.

독재정권 시절 주군의 총애만 믿고, 주군의 신임이 영원 할 줄 알고 권력의 칼을 휘두르며 날고 뛰던 그들, 하나같이 주군의 칼에 비참한 최후가 되지 않았던가. 
겸손하였다면, 물러 날 줄 알았다면, 화는 피할 수 있었으리라! 
그렇다, 윗사람의 신임과 총애, 영원 하리라 착각마라.

▲ 윗사람의 배신을 염두에 둬라. 

윗사람의 총애가 영원하지 않는 것은 당연한 이치다. 윗사람의 이해관계나 감정에 의해서 총애의 마음이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도지죄(餘桃之罪) 즉, ‘먹다 남은 복숭아를 준 죄’ 라는 뜻의 고사성어를 소개하겠다. 위나라에 ‘미자하’라는 꽃미남이 있었는데 왕의 총애를 듬뿍 받고 있었다. 어느날 미자하는 어머니가 병이 나자 임금의 수레를 몰래 훔쳐 타고 어머니 병문안을 다녀왔다. 임금의 수레를 몰래 타면 발꿈치가 잘리는 형벌을 받는 줄 알면서도 말이다. 이 일을 알게 된 왕은 발꿈치가 잘릴 줄 알면서도 자기 어머니께 효성을 다한 미자하를 용서 하였다. 또 어느날, 미자하는 왕과 함께 과수원을 노닐다가 탐스럽게 익은 복숭아 하나를 따서 먹어 보니 맛이 너무 좋아 먹다 남은 것을 왕에게 주었다. 왕은 이를 불경스럽게 여기지 않고 “미자하는 맛있는 복숭아를 혼자 다 먹지 않고 과인에게 주니 나를 사랑하는 구나” 하면서 사랑스러워 했다.

어느덧 세월이 흘러 꽃미남이었던 미자하의 용모도 추하게 변했다. 미자하는 이후에도 왕의 총애만 믿고 계속 불경한 행동을 하였다. 어느 날 미자하에게 권태를 느낀 왕은 미자하의 불경스러움에 크게 화를 내며 “너는 옛날에 과인의 수레를 몰래 훔쳐 탔고 또 불경스럽게 먹다 남은 복숭아를 나에게 주었도다” 라며 과거의 죄까지 모두 소급하여 형벌을 주었다는 고사다. 위의 고사에서 마자하의 행동에는 변한 것이 없다. 변한 것은 왕의 마음이다. 미자하가 꽃미남 일 때는 불경스러움도 사랑이었으나 용모가 추하게 되니 왕의 사랑은 미움으로 변하였다. 

이처럼 내 자신의 잘못이나 허물 때문이 아니라 윗사람의 감정이나 이해관계에 의해 총애가 화로 변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한다. 

주군의 총애만 믿고 모두를 바쳤으나 쓰임이 다하니 토사구팽 당한 역사 속의 한신, 오늘날도 참으로 많을 것이다.  

▲ 그렇다. 총애가 왔을 때는 겸손으로 맞이하라. 그리고 붙잡지만 말고 때가 되면 떠나 보내라.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