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사로 인한 오염 90% 이상···뚜렷한 해결책 없어

수질개선 작업
수질개선 작업
저수지 상부에 위치한 축사
저수지 상부에 위치한 축사
방치된 쓰레기
방치된 쓰레기
녹조낀 농지
녹조낀 농지
저수지 수질관리 실명제
저수지 수질관리 실명제

초대지구 초대저수지(당진시 신평면 초대리) 농업용수 수질개선사업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지적이다. 저수지를 둘러싼 10여개의 축사가 핵심 오염원인데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엉뚱하게 저수지 바닥만 긁고 있다는 것. 준설 등 저수지 수질개선사업에 들어가는 비용은 50억 원 이상이다.

실제 이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당진농어촌공사도 ‘초대저수지 수질관리 실명제’를 통해 축산계(가축)가 저수지의 제1오염원으로 92.1%를 차지한다고 밝히고 있다. 제2오염원은 생활계(인구) 6.0%, 제3오염원은 토지계(농지 등의 농약) 1.9%로 적시했다.

초대저수지 수문방류 댐 아래 농지의 색깔은 짙은 남색으로 녹조가 끼어 썩은 냄새를 풍기고 있다. 이 역시 저수지 물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농림식품부 산하 한국농어촌공사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대지구 농업용수 수질개선 사업’을 2020년 4월부터 벌이고 있다. 2023년 11월 사업이 마무리될 것으로 보이는 이 공사에는 57억300만 원이 투입된다.

공사는 이 돈으로 인공습지 3곳(습지 및 취입보, 양수장 1개소), 침강지 1곳(부댐, 물 순환 장치), 수생식물제거(바닥육상 준설) 등의 사업을 하고 있다.

앞서 2017년 8월 당진시와 농어촌공사 당진지사는 ‘초대저수지 수질개선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협약에 따라 당진시는 ▲초대저수지 상류유역 오염원 감축 ▲유입하천 수질개선 ▲환경기초시설 확충 등을 우선 실시함으로써 수질개선사업의 성공적 시행을 위해 적극 협력하고, 농어촌공사는 ▲수질개선 계획을 수립해 초대저수지 수질개선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 사업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지적은 제1오염원인 가축계(축사)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8% 남짓한 제1, 2오염원 문제 해결에만 국한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부댐과 물순환장치, 습지 및 취입보, 양수장 등을 설치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의 생활로 인한 오염과 농지 등에서 방출되는 농약 섞인 물을 정화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저수지를 둘러싼 축사에서 넘쳐흐르는 오물을 막기에는 역부족일 것이라는 상식적 지적이 이를 방증한다.

초대저수지 수질개선사업을 진행 중인 농어촌공사 당진지사 역시 이 문제를 염려하고 있다.

그들은 “인공습지와 침강지 등으로 상부에서 흘러내리는 축사오물을 최대한 방지는 할 것이나 완벽하게 막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저수지 오염의 절대원인인 축사문제가 해결되지 않고서는 초대저수지 수질개선의 완성을 이루기는 어렵다”고 인정했다.

이 문제와 관련해 책임이 있는 당진시도 이렇다할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시는 환경기초시설 확충 차원의 가축분뇨종합처리장을 만들고,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퇴비활용 등을 통해 축사오염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축사를 다른 곳으로 이전시킬 수 없는 상황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오물을 충분히 저장할 수 있는 대형 정화조 매몰 ▲오물수거차량 수시수거 ▲철저한 감시감독 등이 거론되기도 하지만 2017년 당진시와 공사의 협력약속에 따라 보다 정확하고 합리적인 당사자 간 해결책이 요구된다.

한편 농어촌공사는 공사 착수 전 주민설명회(2020.6.23.)를 통해 주민들의 충분한 합의를 이끌어 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초대리 주민 A 씨는 “이해관계가 복잡해 말할 수 없다. 상상에 맡기겠다”고 대답을 피했다.

이밖에 낚시꾼으로 인한 쓰레기, 인근 인삼밭으로 인한 농약수 배출 문제 등도 초대저수지 오염원으로 작용한다.

현재 저수지 가장자리에는 낚시꾼들이 버린 쓰레기가 더미를 이루고, 인삼밭에서는 오수배출 통로로 의심되는 골을 저수지 방향으로 파놓은 상태다.

17일 현재 당진 초대지구 농업용수 수질개선사업이 한창인 가운데 축사 등 주요 오염원의 실체를 정확히 파악하지 않았거나 알고도 공사를 진행한 농어촌공사 당진지사, 상류유역 오염원 감축에 협력하겠다고 약속하고도 축사문제 해결에 미온적인 당진시 모두는 이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