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지난 10월 22일 '기후 비상상황' 선포
동아시아 최초

지난 11월 1일 정부 미세먼지특별대책위원회는 대표적인 노후 석탄화력 보령 1·2호기를 2020년 폐쇄하기로 확정했다. 그동안 도의 노력이 성과를 거둔 것으로 충남은 탈석탄 기후변화 대응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지난 2017년부터 해마다 국제컨퍼런스가 열리고 있으며 올해는 동아시아 최초로 ‘기후 비상상황’을 선포했다. 지난 10월 21~22일 개최된 국제 컨퍼런스를 위주로 ‘기후 비상상황’ 선포 배경, 내용, 성과, 계획 등을 살펴본다. <편집자주>

사진=(왼쪽부터) 황성렬 노후석탄화력 범도민대책위 상임위원장, 양승조 충남지사 유병국 도의회 의장이 지난 10월 22일 '기후 비상상황'을 선포했다.
사진=(왼쪽부터) 황성렬 노후석탄화력 범도민대책위 상임위원장, 양승조 충남지사 유병국 도의회 의장이 지난 10월 22일 '기후 비상상황'을 선포했다.

충남도는 지난 10월 22일 덕산 스플라스 리솜에서 열린 ‘2019 탈석탄 기후변화 대응 국제 컨퍼런스’에서 ‘기후 비상상황’을 선포했다.

동아시아 지방정부 최초의 일로, 이번 선포는‘기후변화 대응’에서 ‘기후위기 대응’으로 정책을 강화하겠다는 뜻이기도 하다.

중앙정부가 아니라 지방정부에서 기후 비상상황까지 선포하며 온실가스·미세먼지·탈석탄 정책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이유는 무엇일까.

도민의 삶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수없이 언급됐다시피 우리나라의 경우, 석탄화력발전소 60기 가운데 50%에 달하는 30기가 충남에 위치하고 있다. 때문에 2015년 기준 대한민국 온실가스 배출량의 24.7%, 전국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의 13.2%가 충남에서 배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충남은 전 세계 어느 곳보다 심각한 온실가스, 미세먼지 발생으로 주민건강을 위협받고 있으며 생태계 교란, 토양과 해수 오염 등의 우려를 낳고 있다.

구체적으로 충남연구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충남 해역의 대하, 주꾸미, 참조기, 황복 등 수산자원 감소와 김과 해삼, 바지락 등의 양식산업이 위협받고 있으며 산림도 소나무림 쇠퇴, 침엽수림 감소 등의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지금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극한 가뭄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것은 물론 주민들의 각종 질환 발생도 의심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상황에 충남은 온실가스와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꼽히는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조기 폐쇄에 힘써왔다.

TF팀을 구성하고 국내외 협력 네트워크 구축·강화는 물론 범도민 공론화, 친환경 에너지 전환 모색 등의 절차를 차근차근 밟아 온 것.

또 지난해 대한민국 최초 언더투 연합 가입과 아시와 최초 탈석탄 동맹을 가입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은 증가, 기후 위기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위기감을 느끼고 이를 막기 위해 충남이 지방을 넘어,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의 기후 위기 대응을 선도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로 기후 비상상황을 선포한 것이다.

양승조 충남지사도 올해 국제 컨퍼런스 환영사와 선포문을 통해 “더 이상 낭비할 시간이 없다. 이제는 행동할 때”라며 “기후변화로부터 안전한 미래를 만들기 위해 도의회, 도민과 함께 기후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을 다짐, 기후 비상상황을 선포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