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현상탐구를 위한 다양한 분자영상물질의 발굴 기대

박승범 서울대 교수.

박승범 서울대 교수, 김은하 아주대 교수연구팀이 다양한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형광증폭 생물직교프로브 설계 기술을 개발했다고 한국연구재단은 밝혔다.

생물직교프로브는 생체 내부로 투입된 표적물질과 결합하여 형광을 나타냄으로서, 표적의 위치를 추적하는 데 활용된다. 주로 테트라진(tetrazine) 분자와 형광분자가 연결된 형태로서, 테트라진이 표적물질과 빠른 화학반응을 일으키면서 화학구조가 변형되고, 형광 신호가 증폭된다.

그러나 형광분자의 에너지가 테트라진으로 전달되면서 형광빛이 소멸되기 때문에, 기존의 형광체와 테트라진 구획을 구분하는 방식으로는 생체 내 광투과율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장파장 영역에서 형광증폭 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막지 못했다.

연구팀은 기존의 형광체-테트라진 구획화 방식에서 벗어나서 형광체-테트라진 분자단일화라는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했고, 이를 통해 형광 파장의 영역에 관계없이 1000배 정도 높은 효율로 형광 신호를 증폭시켰다.

연구팀은 형광 파장의 조율과 예측이 가능한 형광분자를 독창적으로 개발하여 ‘서울플로어(Seoul-Fluor)’라고 명명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파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새로운 형광증폭 생물직교프로브를 발굴하였다. 개발된 물질은 세포 미세소관 및 미토콘드리아를 관찰하는 형광 이미징에도 성공하였다.

박승범 교수는 “이 연구의 전략을 통하여 서울플로어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광체를 기반으로 장파장 영역에서도 우수한 형광증폭 효율을 갖는 생물직교프로브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발현양이 적어 관찰이 어려웠던 생체 내 표적들을 선택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유용한 형광영상물질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표지 이미지는 제주도의 주상절리를 형상화한 이미지로서 기존의 테트라진 기반 형광프로브의 경우에는 파장이 길어질수록 발광효율이 떨어지는 것(앞의 4개 육각기둥의 높이로 형상화)에 반해서 서울플로어 기반 테트라진 프로브는 전 파장영역에서 높은 발광효율을 보이고 있음(뒤쪽의 육각기둥들은 파랑에서 빨강색까지 높음을 형상화)을 이미지로 나타냄.
표지 이미지는 제주도의 주상절리를 형상화한 이미지로서 기존의 테트라진 기반 형광프로브의 경우에는 파장이 길어질수록 발광효율이 떨어지는 것(앞의 4개 육각기둥의 높이로 형상화)에 반해서 서울플로어 기반 테트라진 프로브는 전 파장영역에서 높은 발광효율을 보이고 있음(뒤쪽의 육각기둥들은 파랑에서 빨강색까지 높음을 형상화)을 이미지로 나타냄.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화학분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표지논문으로 1월 24일 자에 게재되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