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융합연, 미국 핵융합 연구기관 간 초고속 네트워크 구축

국가핵융합연구소는 미국 핵융합 연구기관 사이에 핵융합 공동 실험 및 연구를 위한 대용량 초고속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 구축을 완료하여 지난 27일 데이터 전송 시연을 성공했다.

국내 핵융합 연구장치인 ‘KSTAR’실험에 해외 연구자들이 원격으로 참여하고, 미국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실험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국가핵융합연구소는 연구소와 미국 핵융합 연구기관 사이에 핵융합 공동 실험 및 연구를 위한 대용량 초고속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 구축이 완료되어 성공적인 시연을 마쳤다고 2일 밝혔다.  

KSTAR 및 ITER와 같은 초전도핵융합장치에서는 수 백초 동안 장시간 플라즈마 운전이 가능함에 따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 분석과 인공지능 활용 실시간 제어기술 등이 향후 핵융합기술 개발에 필요한 핵심 기술로 꼽힌다.  

핵융합연구소는 미국 오크리지국립연구소(ORNL,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페르미국립가속기연구소(FNAL, Fermi National Accelerator Laboratory), 프린스턴플라즈마물리연구소(PPPL, Princeton Plasma Physics Laboratory) 등 미국 핵융합 연구기관들과 공동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100Gbps 고속 데이터망 환경을 구축하고, 빅데이터에 적합한 최신 소프트웨어 기술(mdtmFTP와 ADIOS)의 적용을 완료하였다. 

이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한선화, 이하 KISTI)에서 제공하는 국가 간 첨단 연구망인 KREONET(국가과학기술연구망)를 이용한 네트워크로, 국내에서는 한국 천문연구원과 함께 100Gbps의 고속네트워크를 구축한 첫 번째 사례이자 세계 핵융합 연구기관 중에서는 최초이다.  

향후 미국 측의 네트워크 업그레이드가 추가로 이루어지면, 한미 전체 구간에 대해 100Gbps 네트워크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지금보다 10배 더 빠른 초고속 국가 간 핵융합 공동실험 환경이 구축·운영될 전망이다.

김기만 핵융합연구소장은 “고속 네트워크 구축은 우수한 해외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KSTAR 실험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며 “KSTAR를 중심으로 핵융합 분야의 국제 공동 연구를 활발히 이루어, 핵융합에너지 상용화에 필요한 기술 개발을 앞당기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