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열의 세계 속으로] <23>

라인강.
‘옛날부터 전해오는 쓸쓸한 이 말이 가슴속에 그립게도 끝없이 떠오른다. 구름 걷힌 하늘 아래 고요한 라인 강 저녁 빛이 찬란하다. 로렐라이 언덕~ 저편 언덕 바위 위에 어여쁜 그 색시 황금빛이 빛나는 옷, 보기에도 황홀해  고운 머리 빗으면서 부르는 그 노래  마음 끄는 이상한 힘. 로렐라이 언덕~’

독일여행을 앞둔 여행객이라면 한 번쯤 독일민요 ‘로렐라이(Die Lorelei)’를 떠올리며, 로렐라이 언덕을 거닐어 보고 싶은 충동을 느끼게 될 것이다. 세상의 많은 사람들이 가보고 싶어 하는 로렐라이 언덕은 프랑크푸르트에서 서쪽으로 약85㎞ 떨어져 있는 라인 강 유역의 작은 마을 뤼데스하임(Rudesheim Am Rhein)에 있다. 북유럽에서 교통의 중심지 프랑크푸르트에서 약180㎞ 떨어진 쾰른(Köln, Cologne)은 2차 세계대전 당시 연합군의 공습으로 도시의 80~90%가 폐허가 되었던 공통점을 갖고 있는데, 그 중간지점에 있는 것이다.

정승열 한국공무원문학협회 회장
프랑크푸르트에서 탄 버스는 마치 경부선열차가 낙동강을 바라보며 계속 달리듯이 라인 강(Rhein)을 따라서 나란히 달리는데, 스위스의 토마 호수(Lake of Toma)에서 발원하여 오스트리아와 프랑스, 그리고 스위스 바젤을 거쳐 독일 영내에서 프랑크푸르트를 지나 네덜란드로 빠지는 라인 강은 장장 1320㎞에 이르는 유럽의 젖줄이다.

라인 강의 강폭은 낙동강과 엇비슷하지만, 수량(水量)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아서 수많은 화물선과 여객선이 쉴 새 없이 오르내리는 것을 바라보면 독일에서 얼마나 중요한 교통로가 되고 있는지를 잘 알게 된다. 강둑에는 우리나라의 고속도로변에 세운 이정표보다 3~4배는 더 큰 표지판이 군데군데 세워진 것이 자주 눈에 띄었는데, 이것은 육로교통이 발달하지 못한 중세부터 주요 교통로인 라인 강 뱃길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스위스 발원지로부터의 거리를 알려주는 이정표라고 했다.

라인강변
퀼른과 프랑크푸르트의 두 도시는 기차와 버스 등 육상교통이 빈번한데, 특히 뒤셀도르프 선박회사에서 라인 강을 통해서 화물만 운송하다가 최근 마인 강과 라인 강이 합류되는 마인츠(Mainz)에서부터 본(Bonn)까지의 라인 강 중류를 한 시간 가량 정기적인 유람선 투어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서 앞으로 프랑크푸르트를 여행할 기회가 생긴다면 라인 강 투어로 뤼데스하임까지 다녀올 생각을 했다. 
 
로렐라이 언덕 표지석
라인 강을 따라가다 보면 강 양쪽의 높은 산봉우리마다 거의 빠짐없이 고성들이 우뚝 솟아 있는데, 이것은 중세이래 라인 강을 통로로 하여 제후들의 살았던 성이다. 지금은 대부분 개인소유가 되어서 관광객들을 맞이하는 호텔로 이용되고 있다.

라인 강 건너편 강둑에 세워진 ‘555㎞’ 표지판이 있는 곳에서 버스에서 내린 뒤, ‘로렐라이 언덕’으로 올라갔다. 해발 193m에 있는 로렐라이 언덕이 있는  바위를 ‘요정의 바위’라고도 하는데, 그다지 이상하지도 않은 평범한 바위덩이가 아름다운 전설을 만들어낸 현장이다. 바위에 붙여둔 동판 표지는 이곳이 해발 193.14m이고, 라인 강에서 125m 떨어진 지점임을 밝히고 있는데, 언덕이라고 하기엔 약간 높고 산이라고 하기엔 너무 낮은 로렐라이 언덕에서는 라인 강 물줄기가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바위산 아래로는 라인 강과 프랑크푸르트에서 퀼른으로 통하는 열차가 다니는 철도의 터널이다.

로렐라이 언덕에서 본 라인강.
로렐라이 언덕에서 내려와 도로를 건너 폭 2∼3m나 될까 싶은 둑길을 약900m쯤 걸어가면   강둑의 끄트머리인데, 이곳에서는 지금까지 흐르던 강과 샛강이 합쳐지면서 강폭이 넓어진다. 이곳에 높이 약4m쯤 될까 싶은 로렐라이 마녀 상이 있다. 물론, 툭트인 강둑이어서 멀리서도 로렐라이 상이 보이지만, 가까이서 보니 보통의 강돌로 대석(臺石)을 쌓은 위에 검정 오석(烏石)으로 조각되어 있다. 그런데, 강둑은 마녀 상을 카메라에 담기에 곤란할 정도로 비좁고, 로렐라이 상 주변에는 하얀 갈매기 배설물만 가득했다.

가게의 로렐라이 마녀상.
사실 로렐라이는 독일의 서정시인 클레멘스 브렌타노(Clemens Brentano: 1778~1842)가 1802년 설화시(說話詩) ‘고드비(Godwi)’에서 처음 발표된 후 수많은 문학작품과 노래의 주제가 된 가상의 인물이다. 라인 강을 항행하는 뱃사람들이 이곳에 이르면 요정의 아름다운 노랫소리에 도취되어 넋을 잃고, 그녀의 모습을 뒤돌아보다가 암초에 부딪쳐서 배가 난파된다는 내용의 시는 특히 하이네가 지은 시에 무려 25명 이상의 작곡가들이 곡을 붙이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거의 사실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로렐라이 마녀상.
아마도 이곳에서 두 강물이 합쳐지면서 큰 격랑이 생길 때, 작은 배들이 자주 난파되는 것을  로렐라이 마녀의 노래 때문이라는 전설을 만들어 낸 것이 아닐까 싶은데, 실제로 이곳은 배를 운행하기가 까다로운 곳으로 알려져 있을 뿐 아니라 강폭이 갑자기 좁아지면서 소용돌이 치는 곳이라고 했다. 이렇게 실체가 없는 로렐라이의 여인을 만나러 프랑크푸르트에서 한 시간 이상 버스를 타고, 다시금 긴 강둑을 걸어서 검정 대리석으로 만든 보잘 것 없는 여인상을 보러 달려왔다고 생각하니, 마치 사기꾼에게 속은 것 같기도 했다.

로렐라이 마녀상.
많은 사람들은 벨기에의 ‘오줌싸개 어린이 동상’, 덴마크 코펜하겐의 ‘인어공주 상’과 함께 로렐라이 언덕의 ‘마녀 상’을 ‘세계 3대 사기’라고도 말하지만, 이것은 그만큼 세계인의 마음을 감동시킨 작가들의 영향이 크다는 의미일 것이다. 우리의 산하에도 셀 수 없이 많은 전설들이 전해오고 있지만, 이것을 세계인들에게 널리 알리지 못하고 있는 것은 가까운 일본은 이미 여러 명의 노벨문학상 수상자를 배출하고 있는데도 아직까지 단 한명의 노벨상 수상 작가를 배출하지 못하는 우리의 현실과 일맥상통하지 않을까 싶기도 했다.

로렐라이가 있는 마을 뤼데스하임의 레스토랑이나 기념품가게 등은 온통 로렐라이를 밑천삼아 관광객들을 상대로 영업하고 있는데, 강변의 한 조그만 음식점에 들어가서 다시 한 번 놀랐다. 음식점 안의 하얀 벽에 마치 어린이들의 키를 표시해 놓은 것처럼 검정 매직펜으로 줄을 그어놓고, 그 옆에 2001. 2000. 혹은 1985 등의 숫자가 표시되어 있는 것이 궁금해서 물어보니, 그것은 강물이 범람하여 가장 높이 침수된 연도를 표시한 것이라고 했다. 매년 이런 수해를 겪으면서도 음식점을 옮기지 않고, 오히려 그것을 기념하면서 장사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끈질긴 게르만 민족의 특성과 로렐라이 언덕과 같은 전설을 창조해 낼 수 있는 저력을 엿볼 수 있는 것 같았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