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류마티스 관절염 핵심 원인물질 국내 연구진이 발견

카톨릭대 김완욱 교수

류마티스 관절염을 일으키는 핵심물질을 국내연구진이 발견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류마티스 관절염을 일으키고, 관절을 오랫동안 손상시키는 핵심물질(MIF와 CD44)을 카톨릭대 김완욱 교수 연구팀이 처음으로 발견했다고 7일 밝혔다.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은 전 인구의 1% 내외에서 발생하는 만성염증성 질환으로 활막세포가 종양(암)과 같이 증식해 뼈와 연골을 파괴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왜 활막세포가 이러한 비정상적인 특징을 지니는지는 분명히 밝혀지지 않았다.

김완욱 카톨릭대 교수 연구팀은 미국 예일대와 공동연구를 통해  류마티스 환자의 활막세포가 MIF-CD44 엑시스(axis)를 통해 자동적으로 활성화되고 스스로 공격성과 파괴성을 획득해 결국 평생에 걸쳐 연속적으로 뼈와 연골을 파괴할 수 있음이 최초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먼저 환자로부터 얻은 활막세포가 생성하는 대식세포 이동 저해인자(MIF, Macrophage migration inhibotory factor)와 이의 수용체 (CD44)가 관절을 파괴하고 염증을 매개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 확인했다. 특히 MIF의 대립유전자(MIF alleles)의 발현이 높은 환자의 경우 이러한 공격적인 성향이 보다 두드러지게 발생함을 보여 줬는데 이는 활막세포의 공격성이 유전적 형질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흥미롭게도 MIF라는 리간드가 활막세포에 결합할 경우 CD44 수용체가 공격적인 타입으로 ‘스위치 온’이 되고 그 발현 역시 자동적으로 증가됨을 보여줌으로써 ‘활막세포 자동활성화’라는 새로운 병리현상을 제시했으며,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가 왜 평생 연속적으로 관절손상이 발생하는가에 대한 의학적 난제에 대한 중요한 해답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활막세포 자동활성화’ 현상을 누그러뜨릴 수 있는 치료법 역시 제시했다. MIF의 선택적인 억제제로써 소분자 화합물인 MIF098(MIF를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소분자 화합물)과 MIF020(MIF를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또 다른 소분자 화합물)을 처리할 경우 MIF-CD44 axis가 저해되어 활막세포의 공격성이 현저히 감소됐다. 이 결과는 MIF098과 MIF020 소분자 화합물이 앞으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치료제로써 특히 활막세포의 공격성과 파괴성을 억제하는 신규 약물로서 적용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김완욱 교수는 “이 연구는 종양(암) 세포와 같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하고 강력한 침습성을 지닌 활막세포가 뼈와 연골을 파괴할 수 있는 핵심적인 메커니즘을 9년이라는 장기 연구를 통해 밝힌 것이다. 앞으로 류마티스 관절염의 완치를 향한 약물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라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김 교수 연구팀은 미래창조과학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개인연구)의 지원으로 미국 예일대와 공동연구를 수행했으며, 국제학술지인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월 21일자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