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은의 힐링에세이]가득이심리상담센터 대표

살다보면 나도 모르는 내 성격을 발견하곤 한다. 때로는 나임을 거부하고 싶을 때가 있다. 흔히들 타고난 성격 또는 기질별 특징이라 한다. 사람들하고 소통할 때의 자기중심적 사고가 들어 나오는 것을 생각하면 쉽다. 타고난 성격을 생각을 하면 의문이 생길수도 있다. ‘사람의 성격은 변화할 수 있을까’ 혹은 ‘바뀔 수 있는 것일까’라는 의문이다.

성격을 제대로 알기 위해선 먼저 ‘성격’이 나타내는 것을 알아야 한다. 성격의 체질적인 기초는 거의 유전에 의하여 규정된다고 한다.

성격이란 개인의 환경에 대한 고유한 적응을 규정하는 정신적·물리적 조직으로서의 개인 내의 역동적 체제라고 했다. 즉 사회에서 개인의 역할 및 상태를 규정하는 모든 성질의 통합이라고 할 수 있다.

성격은 다른 사람에게 어떤 자극을 주고 어떻게 평가되느냐의 사회적 효과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는 학자도 있다. 결론적으로 자신과 아울러 다른 사람으로부터 주어진 자신과의 양면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이 곧 성격이라고 말할 수 있다.

성격은 그 자체가 그 사람의 인품이라 그리 간단하게 바뀌지 않고 바꿀 필요도 없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자신의 성격에서 장애로 인해 사회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면 반드시 바꾸도록 노력해야 하며, 실제로도 바뀌기도 한다.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어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었을 것이다. 그만큼 사람은 자신의 성격에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때로는 어릴 적 불우했던 환경 탓으로 돌리면서 그것으로 인한 성격 형성이 되었다고 각인시킬 수도 있다. 점점 나이가 들면서 성격이 원만해지는 사람도 있고, 더 완고해지는 사람도 있다. 이러한 차이는 사람마다 살아온 인생이 다르기 때문에 그 사람이 걸어왔던 삶의 발자취를 엿볼 수가 있다.

흔하게 접하게 되는 성격에서 오는 진실된 불편한 사례를 이야기해 볼까한다. 주변에서 이런 이야기를 많이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예전에는 정말 친해서 그 집 숟가락 숫자까지 알았는데, 그 일이 있고나서 지금은 모르는 사람처럼 행동하고 있어요.”

과거에는 친했는데 특정한 계기로 갈라지는 경우를 많이 본다. 무엇이 문제일까. 바로 ‘경계선’의 오류에서 오는 결과물들이다. 다른 말로 쉽게 풀이하자면 기본적인 것을 넘어선 경계를 의미한다.

지켜야 할 것을 넘어서 간섭이나 관심, 사랑, 애정 등 모든 감정이 뒤섞이다보니 나중엔 애증이 되었다가 결국엔 무관심으로 바뀌어버린다.

사랑받기 위해서 태어난 존재가 바로 사람이다. 양육에서의 애착도 중요한 요소가 되겠고, 자신만의 기질과 성격도 타고나는 것이라 중요한 요소가 되겠다. 자신을 잘 인지하고 다른 사람과 소통할 수 있다면 경계를 넘어선 오류를 덜 범했을 것이다.

사람은 누구나 우울감을 느끼고 살아간다. 불안도 어느 정도는 있어야 살아가는데 도움이 된다. 무엇이든 과할 때 문제의 원인이 된다. 우울감이 심하고 자주 나타날 때는 우울증, 불안이 너무 심하면 불안장애를 가져와서 소통의 어려움도 있지만, 자신의 불편한 감정으로 상대방에게 그대로 쏟아 붓기도 한다.

자신의 이러함을 위로받고자 대인관계에서 상대방에 대한 기대가 높거나, 사랑과 관심을 받고자 노력하다보니 결국은 관계 형성의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

‘과유불급(過猶不及)’. 정도를 지나침은 모자람과 같다. 일상생활에서 중용의 도를 지키라는 의미를 뜻하고 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