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관광공사 추천여행-경남산청군

산청군 산청읍에서 동남쪽으로 약 10km. 상서로운 기운이 금강에 비견된다 하여 예부터 소금강이라 불리던 대성산이 있다. 이 산 중턱 기암절벽에 기대어 둥지를 튼 암자가 정취암이다. 해인사 말사인 정취암은 전각이 많지 않은 작은 절이지만, 해인사도 갖지 못한 보물을 품었다. 절 앞으로 펼쳐지는 산천 풍경이 그것이다.

정취암 풍경

신라시대에 창건한 고찰

산청에서 진주로 이어지는 3번 국도(산청대로)를 벗어나니 길은 산으로 이어진다. 구불구불한 길에는 벚나무와 소나무가 서로 마주본다. 사철 푸른 소나무와 달리 벚나무는 봄이 무르익어가는 것을 아쉬워하듯 벚꽃의 화려함을 벗어낸다. 벚꽃이 한창일 때는 꽃터널을 이뤘을 법한 길이다. 연분홍과 초록이 공존하는 덕분에 길은 지루하지 않다. 오가는 차량이 많지 않아 여유롭기까지 하다.

정취암 이정표를 보고 작은 도로로 들어선다. 꽃나무는 사라지고 한 줄기 길만 오롯이 나 있다. 산허리를 넘어왔건만, 길은 훨씬 높은 경사를 유지하며 산허리를 감고 돈다. 돌고 돌다 보면 산 중턱 절벽에 절이 걸려 있다. 정취암이다. 포장된 길을 올라가면서도 '저길 어떻게 올라가지?' 하는 걱정이 든다. 물론 부질없는 걱정이다. 절 앞까지 도로가 나 있어 등산이 목적이 아니라면 승용차로 편안하게 정취암에 닿을 수 있다.

산허리를 돌고 돌아 정취암 가는 길

정취암 입구. 나지막한 돌담을 두른 전각 몇 채가 모습을 드러낸다. 보는 이를 기죽게 하는 위압적인 규모가 아니다. 시골집처럼 아담해 마음이 편안하다. 담장 뒤로는 몇백 미터 절벽이다. 누가 이런 곳에 절을 지었는지 참으로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입구 옆 안내문을 보니 절의 역사가 의외로 길다. 창건설화에 따르면, 신라 신문왕 6년(686) 동해에서 부처가 솟아올라 두 줄기 서광을 발하니 한 줄기는 금강산을 비추고, 다른 한 줄기는 대성산을 비추었다. 이때 의상대사가 두 줄기 서광을 좇아 금강산에는 원통암을, 대성산에는 정취사를 세웠다고 한다. 《동국여지승람》을 비롯한 조선 중기의 기록에는 정취사로, 조선 후기에서 구한말 사이에 조성된 불화에는 정취암으로 기록되어 있다. 고려 말에는 공민왕의 개혁 의지를 실현하고 원나라와 명나라의 간섭을 극복하려는 개혁 세력의 주요 거점이었고, 현대에 와서는 조계종 종정을 지낸 고암 대종사와 성철 대종사가 주석했다.

정취암 입구

풍광 좋은 관음도량

정취암의 주전은 관세음보살을 모신 원통보전이다. 보살은 대승불교가 발달하면서 등장한 개념이다. 부처를 보좌해 자비를 베풀며 중생을 구제하고 부처가 되기 위해 수행한다. 관세음보살은 자비의 상징이다. 누구나 어려움에 처했을 때 그 이름을 정성으로 외우면 구제한다고 한다. 특이하게도 정취암에 모셔진 관세음보살은 정취관음보살이다. 정취보살은 관세음보살의 화현이라고도 하나 《화엄경》 <입법계품>에 선재동자가 구법수행하는 53선지식 중 하나다. 우리나라에서 정취관음보살을 본존불로 모시고 있는 곳은 정취암이 유일하다.

고려 공민왕 3년(1354), 화경거사와 경신거사가 정취암을 중수한 후 궁궐에 있던 정취관음보살상을 이곳으로 모셔왔다. 이후 전각이 불타는 불운을 겪으면서 보살상도 소실되어 조선 효종 5년(1654)에 새로 조성하였다.

정취암 전경

원통보전 안으로 들어가면 단아한 관음보살좌상이 반긴다. 크기가 50cm 남짓 하니 한눈에 들어오는 것도 아니고 위압적이지도 않다. 얼굴은 네모난 형태에 가늘고 긴 눈, 완만한 콧등, 입술 양끝에 양감을 줘 미소를 머금게 하는 모습이다. 자세는 등을 세우고 머리를 약간 앞으로 내밀고 있다.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14호로 지정된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원통보전 뒤로 난 돌계단을 오르면 왼편에 응진전, 오른편에 산신각이 나온다. 산신각은 우리나라 절 특유의 전각으로 불교의 토착화 과정을 일러주는 좋은 예이다. 산신은 우리나라의 토속신앙으로 불교가 토착화하는 과정에서 수용되었다. 산신각의 산신탱화(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43호)는 호랑이를 타고 행차하는 산신을 협시동자가 받들고 있는 모습이다. 조선 순조 33년(1833)에 제작되었으며, 역시 토속신앙과 불교의 융합을 잘 보여준다.

신라시대 의상대사가 창건한 정취암
   
원통보전에서 바라본 응진전

발아래 펼쳐지는 산청의 산과 들

절이 작아 둘러보는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는다. 한번 휙 둘러보는 데 20분이면 충분하다. 산길을 힘겹게 올라온 것에 비하면 아쉬움이 남는 시간이기도 하다. 왠지 발길을 그냥 돌리기가 허전하다. 이럴 때는 절 뒤 바위에 오르는 것이 좋다.

응진전 옆으로 난 등산로를 이용하면 정취암을 뒤에서 든든하게 받쳐주는 바위에 닿는다. 길이 험한 것도 아니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도 아니다. 편평하고 너른 바위에 서면 정취암의 지붕이 보이고 그 뒤로 산청의 산과 들이 펼쳐진다. 산허리를 감아 도는 도로도 더욱 선명하게 보인다.

정취암 응진전


따스한 봄볕과 시원한 봄바람을 쐬며 잠시 풍경을 감상한다. 높은 곳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니 천상에서 하계를 굽어보는 기분이다. 사람들의 북적거림도 없어 조용하다. 고요함이 가득한 곳에서 온전히 나만의 시간을 만끽하니 속세를 벗어난 느낌이다.<자료제공 한국관광공사>

   
정취암 뒤 바위에서 바라본 풍경


여행정보

정취암 주소 : 경남 산청군 신등면 둔철산로 675-87
문의 : 055-972-3339,

1.주변 음식점
춘산식당 : 한정식 / 산청군 산청읍 꽃봉산로79번길 24 / 055-973-2804
송림산장 : 십전대보한방백숙 / 산청군 산청읍 산수로 316-5 / 055-972-2988
동의약선관 : 약선정식 / 산청군 금서면 동의보감로555번길 45-17 / 055-972-7730
강변식당 : 메기매운탕 / 산청군 산청읍 꽃봉산로 30-5 / 055-973-2346

2.숙소강산에펜션 : 산청군 산청읍 중앙로2번길 28-12 / 055-974-1587 / www.kangsanae.com
남사예담촌 : 산청군 단성면 지리산대로2897번길 10 / 010-2987-9984
남사예담촌 이씨고가 : 산청군 단성면 지리산대로 2889-3 / 010-9188-9984
강가애펜션 : 산청군 삼장면 평촌유평로23번길 151 / 055-972-2354 / gangga.co.kr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