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지의 입장에서-

 어리둥절하게 만든 세금추징의 진실

 21일자 중앙일간지를 비롯 지방일간지 등 대다수 신문의 1면 톱기사는 ´23개 언론사 5056억원 세금 추징´과 관련된 국세청의 발표내용이었다.

 많은 신문들이 1면 톱만이 아니라 관련기사도 2∼3개 면에 할애했고 사설을 통해서도 각 사의 입장표명을 분명히 했다.

 그런데 중앙일간지들이 사설을 통해 드러낸 속내는 독자들을 어리둥절케 만든다.

 이른바 ´빅3´로 불리는 신문사중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경우는 한마디로 언론사를 부도덕 집단으로 몰지 말라며 정면대결을 불사할 태도를 보이고 있는 반면 동아일보는 사설을 다루지 않아 의외의 모습을 보였다.

 이에 반해 한겨레와 대한매일은 언론사가 탈법의 성역이었다며 범법행위는 엄정히 단죄되어야 한다고 주장, 국세청과 정부를 대변하는 듯한 논조를 보여줬다.

 그러나 한국일보의 사설은 비교적 감정에 치우치지 않고 진솔했다. ´부끄러운 언론 현실´이라는 제목 하에 먼저 세금 추징액이 5000억원이 넘는다는 사실은 국민의 비난을 받아 마땅하다며 한국일보도 여기에서 자유롭지 못하며 독자와 국민의 질책을 겸허하게 수용한다고 밝힌 후 제반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했다.

 침묵 지킨 지방지

 지방일간지들의 반응은 어떠했나. 마치 남의 일 다루듯 연합기사만 실었을 뿐 침묵으로 일관했다.

 오늘날 지방일간지들이 겪고있는 어려움의 가장 큰 원인이 일부 중앙지들의 무차별적인 경품제공과 무가지 살포로 인한 부수 격감에 있었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아무런 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음은 실로 안타까움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그동안 빅3 신문사 중에서는 지국에서 지대를 거의 받지 않다시피 하며 수천억원을 투입해 부수 확장에 열을 올려 전국의 지방지들을 초토화 시켰다.

 지대를 제대로 받지 않는 대신 지국에서는 경품과 무가지 배포를 통해 시장질서를 교란시켰다. 결국 엄청난 자금을 밑바탕으로 한 중앙지의 공격으로 전국의 지방지들은 하루가 다르게 부수가 떨어져 나갔고 궁극적으로는 광고수주 격감으로 이어졌다.

 그럼에도 신문판매협의회나 신문협회는 빅3 중심으로 운영돼 지방지들의 하소연은 소수의 목소리에 파묻힐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바로 이 같은 언론현실 속에서 언론개혁은 사이비기자와 피라미 언론사에 대한 단속만 할 것이 아니라 큰 도둑(?)을 먼저 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져갔고 정부-빅3 언론사간의 갈등 속에 세금추징이라는 결과물로 나오게 된 것이다.

 20일 최종 확정된 신문고시도 따지고 보면 빅3 신문사와 지방지를 포함한 마이너그룹 신문사들간의 갈등이 빚은 산물이라 할 수 있다.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려는 빅3 신문사들은 무가지 제공 금지(무가지와 경품이 유료 신문대금의 20%초과), 부당한 고객 유인행위(7일 이상 신문 강제 투입) 배타, 조건부 거래행위금지(지국에게 다른 신문의 판매를 못하게 하는 행위)등 신문고시 주요내용에 대해 정치적 의도가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그러나 신문시장 질서를 어지럽혀 온 장본인이 빅3 신문사였던 점을 감안할 때 지방지들은 신문고시를 계기로 적극적인 입장을 표명하는 등 중앙지로 인한 피해를 더 이상 입지 않도록 하는 방안모색을 서둘러야 할 때다.

 결론적으로 중앙지나 지방지나 억지 부수를 통해 수입을 제고시키려 할 것이 아니라 선진외국의 신문처럼 특화된 신문을 만들고 기자들의 질을 높이는 등 신경영기법의 도입만이 살아남는 길임을 ´언론사 세금추징 사건´은 암시해 주고 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