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또는 7일께 담화·회견 통해 입장 발표 가능성

오는 9일 국회 박근혜 대통령 탄핵 소추안 표결 처리를 앞두고 박 대통령이 하야를 선언할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가 여의도 정가를 중심으로 흘러나오고 있다. 청와대 제공. 자료사진.
오는 9일 국회 박근혜 대통령 탄핵 소추안 표결 처리를 앞두고 박 대통령이 하야를 선언할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가 여의도 정가를 중심으로 흘러나오고 있다.

새누리당 비주류가 지난 4일 박 대통령이 조기 퇴진 일정을 밝히는 것과 무관하게 여야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9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핵안 표결에 참여해 찬성표를 던지기로 하면서 이 시나리오는 설득력을 얻고 있다.

"박 대통령, 탄핵안 표결 전 하야 선언 할 수 있어"

비박이 돌아설 경우 박 대통령이 더 이상 꺼낼 카드가 없다는 점 때문이다. 때문에 탄핵국면을 벗어나기 위해서라도 하야를 택하지 않겠느냐는 해석이다. 만약 박 대통령이 하야를 택한다면, 퇴진 방법과 시기를 놓고 마지막으로 정치권을 흔들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하야는 하되, 퇴진 시점을 내년 2월쯤으로 밝혀 ‘2선 후퇴’로 시간을 벌고, 친박계 지도부를 주축으로 한 조직 재정비로 전열을 가다듬으며 분노한 민심을 달래는 전략을 펼 수 있다는 얘기다.

특히 즉각 퇴진을 선언할 경우 60일 이내 차기 대선을 치러야 하기 때문에, 차기 대선 일정에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 하지만 내년 2월 퇴진할 경우 4월 대선을 치른다는 점에서 야권 잠룡들에게도 나쁘지 않은 시나리오가 될 수 있다.

내년 2월 퇴진 시점 밝혀 마지막 정치권 흔들기?

그 사이에 유일한 여권 차기 주자로 꼽히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1월 귀국한다. 따라서 새누리당은 어떤 방법으로든 반 총장의 영입에 집중할 수밖에 없고, 반 총장 역시 국내 정치 조직이 전무하다는 점과 대선 준비 기간이 촉박하다는 점에서 영입 제의에 긍정적 반응을 비칠 수도 있다.

그러나 야당과 국민적 여론이 이 같은 시나리오에 수긍하지 않을 것이란 점에서 ‘설(說)’에 그칠 공산이 크다는 분석이다.

다만 지난 1일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와 새누리당 비박계 좌장인 김무성 전 대표와 만난 이후 논란이 일었던 박 대통령의 ‘1월 퇴진’으로 협상을 시도할 수 있다는 가정도 가능하다.

232만명의 국민들이 참여한 지난 주말 촛불집회가 탄핵열차를 9일로 질주하게 만든 가운데 이런 저런 소문이 무성하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