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8기 이장우 대전시정 '경제지 우대' 최대 12배 증액
'조중동' 연간 광고액 ‘2배 증가’...지역 3대 일간지도 호황

대전시가 이장우 시장 취임 이후 서울에 본사를 둔 주요 중앙 경제지에 연간 평균 최소 2배, 최대 12배의 정부광고비를 집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 성향 중앙지 3개사와 지역 주요 일간지도 민선 7기 대비 광고비가 늘어 함께 수혜를 입었다. 자료사진.   
대전시가 이장우 시장 취임 이후 서울에 본사를 둔 주요 중앙 경제지에 연간 평균 최소 2배, 최대 12배의 정부광고비를 집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 성향 중앙지 3개사와 지역 주요 일간지도 민선 7기 대비 광고비가 늘어 함께 수혜를 입었다. 자료사진.   

대전시가 이장우 시장 취임 후 서울에 본사를 둔 주요 경제지에 민선 7기 대비 연간 평균 최대 12배 많은 광고비를 집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 성향 중앙 일간지 3개사와 지역 주요 일간지도 함께 수혜를 입었다. 

<디트뉴스24>와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가 한국언론진흥재단, 지방자치단체 정보공개청구 등을 통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시는 민선 8기 출범 후 서울에 본사를 둔 5개 주요 경제지에 민선 7기 대비 최소 2배 이상, 최대 12배 가까이 많은 금액을 연간 광고비로 집행했다.

‘일류경제도시’ 슬로건을 내걸고 중앙 경제지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언론 홍보에 나섰다기엔 예산 대비 과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선 7기와 민선 8기(2019~2024년) 연간 평균 시 정부광고액은 62~63억 원대로 비슷한 수준이다. 

대전시가 민선 8기 <매일경제>와 <한국경제>에 집행한 총 광고비는 억대 규모다. 연간 평균 광고액은 민선 7기와 비교해 각각 2.2배, 2.3배 증가했다.

특히 <헤럴드경제>의 민선 8기 연간 평균 광고비는 민선 7기와 비교해 약 11.9배 증가해 가장 큰 상승률을 보였다. <머니투데이>는 민선 8기 들어 연간 평균 광고비가 7배 뛰었고, <서울경제> 연간 평균 광고액은 민선 8기 들어 3.5배 증가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대전시 정부광고액은 인쇄, 방송, 인터넷, 옥외 등을 모두 포함해 68억 7800만 원이다. 2023년은 58억 9200만 원, 2022년에는 62억 3500만 원을 집행했다. 예산 규모는 지난해가 최고치다. 

보수 성향 중앙지, 지역 일간지도 ‘동반 호황’

2025년 9월 16일자 대전지역 주요 일간지. 한지혜 기자.
2025년 9월 16일자 대전지역 주요 일간지. 한지혜 기자.

대전시 민선 7기와 8기 연간 평균 정부광고 예산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일부 언론사의 집행액은 눈에 띄게 증가했다. 중앙 언론 편중 문제와 더불어 이미 현실이 된 미디어 환경 변화를 역행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시는 서울에 본사를 둔 보수 성향 중앙일간지 3개사(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에 민선 7기와 비교해 연간 최소 1.7배에서 최대 2배 광고비를 늘려 집행했다. 민선 8기 총 집행액은 각 약 2억 원으로 집행액은 조선일보가 가장 많았고, 중앙일보와 동아일보가 비슷했다.

지역 일간지 3개사도 동반 호황을 누렸다. 민선 8기 시가 지역 주요 일간지 대전일보, 중도일보, 충청투데이에 지급한 정부광고비는 올해 상반기까지 총 각각 10억 7500만 원, 11억 9475만 원, 12억 6300만 원이다. 최근 언론사 사옥 매입 논란이 일었던 충청투데이 광고집행액이 가장 많다. 

시는 민선 8기가 1년 남은 상황에서 해당 3개사에 민선 7기 4년간 집행한 총광고액 이상을 이미 집행했다. 3개사 연간 평균 광고비는 민선 7기 대비 1.3배, 1.4배씩 늘었다.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는 “투명한 기준 없이 이뤄진 광고비 증액은 단체장의 치적 활용에 사용된다는 의심만 키울뿐”이라며 “대전시는 언론 광고비 집행 근거와 결과를 시민 앞에 투명하게 공개하고, 관행만을 따르는 집행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중앙 언론사·인쇄 매체 편중 관행 개선될까

이재명 대통령. 대통령실 제공.
이재명 대통령. 대통령실 제공.

지난해 기준 총 정부광고비의 약 60%가 중앙 언론사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정부광고 집행내역을 보면, 지역지 비중이 꾸준히 줄어든 반면 전국지 비중은 계속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민형배 의원(광주 광산을)이 한국언론진흥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중앙지에 집행된 정부 광고액은 1409억 4600만 원으로 전체의 58.2%를 차지했다. 2022년 54%였던 수치는 2023년 57.3%로 상승한 뒤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지역지 광고액 비중은 2022년 46%, 2023년 42.7%, 지난해 41.8%까지 줄어드는 등 하락세를 보였다.

새 정부와 정치권에서 정부광고 관행 개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만큼, 이같은 흐름이 개선될지도 주목된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열린 국무회의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정부 홍보 효율화 방안’을 보고 받았다.

이날 회의에선 주요 언론사를 중심으로 한 정부광고 집행 관행을 바꾸고, 제3의 기관을 통해 정부광고 투명성을 확인하는 방안이 제안됐다. 일부 국무위원들은 캐나다, 영국 정부가 달라진 미디어 환경을 반영해 정부광고의 65%를 디지털 광고에 집중하고 있는 사례 등을 언급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