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보령-대전고속道 건설 ‘투트랙 전략’ 가동

‘국가계획 수정’+ ‘민자고속도로 건설’ 추진 김태흠 지사, 국내 굴지 건설사와 관련 협의 진행

2022-11-23     황재돈 기자
충남도가 지역 숙원사업인 ‘보령-대전-보은고속도로’ 조기건설을 위해 ‘투트랙 전략’을 가동하기 시작했다. 자료사진.

[황재돈 기자] 충남도가 지역 숙원사업인 ‘보령-대전-보은고속도로’ 조기건설을 위해 ‘투트랙 전략’을 가동한다. <디트뉴스> 취재 결과 도는 국토교통부에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 수정을 요청하는 한편, 민자고속도로 건설을 위해 대형건설사와 관련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기사 8월 31일자: 보령-대전고속道 조기 건설, 국가계획 수정 카드 만지작 등>

앞서 도는 지난 21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국토부와 현안회의를 열어 ‘대통령 지역공약 추진을 위한 국가계획 신속 수정’을 건의했다. 이미 수립한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2021~2025)’과 ‘제5차 국도·국지도 건설계획(2021~2025)’,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1~2030)’에 윤석열 대통령 지역공약을 반영시키자는 것이다.

도에 따르면, 윤 대통령의 '충남 7대 공약, 15대 정책과제'에 담긴 ‘중부권 내륙지역 광역입체 교통망 확충’ 계획에 따라 도는 ▲보령-대전-보은고속도로 ▲제2서해대교 건설 ▲충청내륙철도 ▲중부권동서횡단철도 ▲GTX-C천안·아산 연장 등 세부과제 10건(도로4건, 철도6건)을 발굴했다.

도는 대통령 임기 내 해당 사업을 추진키 위해 기존 국가계획의 신속한 수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차기 국가계획(2026~2030년) 반영 시 사전타당성조사 1년, 예비타당성조사 1년 등 행정절차에 따라 대통령 임기(27년 5월) 내 사업 착수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

결과적으로 ‘제3차 고속도로 건설계획(2026~2030)’에 ‘보령-대전고속도로’ 계획을 담기까지 3~4년을 기다리지 않고,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의 수정을 요청해 착공 시기를 앞당기겠다는 계산이다.

윤여권 도 도로철도항공과장은 <디트뉴스>와 통화에서 “정부는 필요에 따라 기존 계획을 수정하는 권한을 갖고 있다”며 “이런 이유에서 대통령 지역공약 조기 이행을 위해 국토부에 국가계획 수정을 건의했고, ‘검토하겠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말했다.

제2차 국가도로망계획에 담긴 '보령~대전~보은 고속도로' 위치도. 자료사진.

직선 65km, 30분 내 주파 가능..한국판 아우토반
“대형건설사, 보령-대전 직선화 고속도로 용역 진행”


도는 ‘보령-대전 직선화 민자고속도로’ 추진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고속도로 건설계획이 국가계획에 반영돼 공영개발 또는 정부주도 사업으로 추진될 경우 사업 속도가 더딜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중부권에 바다를 선물하자’ 슬로건을 내건 이 프로젝트는 보령에서 대전까지 직선거리 약 65km를 30분 내 주파할 수 있도록 하는 소위 ‘한국판 아우토반(Autobahn)’을 롤 모델로 두고 있다.

이 계획은 윤 대통령 대전 공약인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건설'과 연계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경우 거리 단축으로 인한 건설비용  감소가 예상된다.

도는 직선화 고속도로로 시간과 거리를 단축시켜 운행비용 절감, 교통사고 절감, 환경비용 절감 등 편익을 발생을 기대하고 있다. 또 고속도로 건설로 관광수요 유입을 통한 중부권 500만 명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경제 활동의 촉진제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실제 도는 민자고속도로 추진을 위해 대형건설사와 접촉한 것으로 확인됐다.

도 핵심 관계자는 “김태흠 지사는 취임 후 대형건설사 임원진과 만나 ‘보령-대전 직선화 고속도로’ 건설을 논의했다”며 “후속 조치로 건설사 도로책임자가 도청을 방문해 실무 협의도 진행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건설사에서 용역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결과가 나오면 지사께 보고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민자고속도로 건설 역시 사업타당성이 담보 돼야하는 만큼 대형건설사의 경제성 평가 결과에 충청권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