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시, 올해 교육발전특구 사업 성공적 마무리
중고생 2970여명 참여
공주시가 2025년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인 ‘문화나루교육사업’과 ‘청청바톤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시는 지난 25일 성과공유회를 열어 참여 학생들의 활동 결과를 일부 발표하고, 2025년 운영 성과와 보완 방향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두 사업은 공주의 역사·문화·생태 자원을 기반으로 한 청소년 체험·탐구형 교육 모델로, 5월부터 11월까지 관내 중고교생 2,970여 명을 대상으로 운영됐다.
올해 참여 학교는 공주중, 공주여중, 봉황중, 영명중, 사대부중, 유구중, 경천중, 우성중 등 8개 중학교와 공주고, 공주여고, 정보고 등 3개 고등학교로 총 11개교가 참여했다.
교육은 학교 교실과 공주 주요 문화유적지를 병행해 진행되었으며, 학생들은 지역의 실제 공간에서 지역성·역사성·환경 가치를 이해하는 현장 중심 학습 경험을 쌓았다.
‘문화나루교육사업’은 ▲역사·문화 탐방 ▲문화예술 체험 ▲환경·사회교육 ▲인문학 강의 ▲공주 특성화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됐다. 특히 공산성, 무령왕릉 등에서 진행된 탐방형 수업은 학생들이 지역의 역사적 가치와 문화적 맥락을 직접 체감할 수 있어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환경 분야에서는 ‘지구를 키우는 실험실’, ‘쓰임 그 이후’ 등 탄소중립과 자원순환을 주제로 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미래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도 높였다.
청소년 주도형 ‘청청바톤’ 프로젝트는 학생과 지역 전문가가 협업해 지역 문제를 탐색하고 해결 모형을 설계하는 방식으로 추진됐다. 세대 협력, 마을 공간 활용, 진로 탐색 등 다양한 주제가 다뤄졌으며, 학생들의 자기 표현력과 공동체 의식, 지역 이해도를 높이는 계기가 됐다.
최원철 시장은 “공주의 문화·역사·생태 자원을 교육과 자연스럽게 연결하면서 지역이 곧 배움터가 되는 교육환경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청소년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공주형 교육모델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