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백서 고집하는 대전시의회..예산·효율성 '지적'
디지털화 흐름 속 내년 본예산 3000만 원 편성 창원시의회 전자책 발간, 기록물 디지털화 조례도
대전시의회가 종이책 형태 의정백서를 발간하기로 하면서 효율성과 환경적 측면을 고려해 전자책(e북) 형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지방의회와 교육행정 등에서 중요 기록물의 디지털화 흐름이 가속화되는 상황과 맞물린 비판이다.
21일 시의회에 따르면 의회사무처는 내년 본예산에 ‘의정백서 발간’을 위한 예산 3000만 원을 편성했다.
9대 의회 안건 처리 현황과 5분 자유발언, 현장 방문 등 의정 활동 전반을 기록한 백서 400부를 종이책으로 제작, 시·구청, 행정복지센터, 교육청, 타 시·도의회 등에 배포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향후 의정활동 방향 정립과 지방자치 발전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일각에선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존에 디지털로 생산된 문서를 다시 종이로 제작하는 방식이 비효율적이며, 다수 내용은 이미 의회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종이책 백서를 전자책으로 전환하는 지자체 사례도 등장하고 있다. 경남 창원시의회는 지난해부터 2년 주기로 제작하던 의정백서를 전자책으로 발간하고 있다.
창원시의회는 “전자책 제작이 종이책 대비 예산을 약 70% 절감하고, 30년생 나무 127그루를 심는 것과 맞먹는 탄소절감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행정 전반에서도 기록물 디지털 전환 흐름이 확대되는 추세다. 충남도의회에서는 최근 ‘충남도교육청 중요 기록물 디지털화에 관한 조례안’이 발의돼 심의를 앞두고 있다.
해당 조례안은 전자책 형태로 생산되지 않는 기록이 멸실·훼손의 위험에 놓여 있는 만큼, 장기간 보존이 필요한 행정기록과 정책·교육자료 등을 디지털화해 원본 보존을 강화해야 한다는 취지를 담고 있다.
이같은 내용이 담긴 내년도 예산안은 내달 1일 의회운영위원회에서 심의할 예정이다. 이밖에 예산안에 의정 홍보용 디스플레이 설치(6000만 원), 의원실 환경개선사업(3000만 원), 의장연설문집 제작(800만 원) 등도 포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