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민국악관현악단 ‘우리들의 흥’ 두 번째 이야기 30일 서구문화원
조선 후기 풍류방의 우아함부터 현대의 역동적인 창작곡까지
지난해 창단해 지역사회에 국악의 ‘흥(興)’과 신명을 선사해 온 대전시민국악관현악단이 두 번째 정기연주회 ‘우리들의 흥(興)’을 30일(일) 오후 5시 대전서구문화원 아트홀(6층) 무대에 올린다.
남녀노소 우리의 소리를 배우는 열정 있는 아마추어 연주자들과 전문 연주자들이 함께하는 이번 연주회는 전통 실내악부터 창작 관현악, 현대 가요 메들리까지, 국악의 모든 걸 아우르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공연은 조선 후기 풍류방의 우아함부터 현대의 역동적인 창작곡까지, 국악의 깊이와 폭을 동시에 보여주며 문을 연다.
이날 연주회는 조선 후기 풍류방에서 무병장수를 기원하며 연주되던 현악 중심의 실내악 ‘천년만세’로 시작해 북한 작곡가 김용실이 흥남제련소 노동자들의 활기찬 삶을 3악장 구성으로 그려낸 ‘출강’,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연주되는 대표적인 관현악곡인 ‘축연무’(작곡 박범훈) 등을 선보인다.
전통 가락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현대적 감각과 대중성을 융합한 레퍼토리도 만나볼 수 있다.
‘고래사냥’, ‘해변으로 가요’, ‘무조건’ 등 대중에게 익숙한 가요들을 국악관현악으로 재구성한 메들리를 비롯해 가야금과 생황의 섬세한 조화, 경쾌한 분위기가 매력적인 ‘스카이 하이(Sky High)’(작곡 강솔잎)을 연주한다.
국내 국악 콩쿠르에서 두각을 나타낸 박문정의 노래로 판소리 <춘향가> 중 유려하고 깊은 맛의 ‘쑥대머리’, 국악의 장단과 가락을 살려 대중이 쉽게 부를 수 있도록 만든 민요풍의 창작 가요 ‘아리요’도 감상할 수 있다.
연주회의 대미는 백대웅 작곡의 ‘남도아리랑’으로 장식한다. 전라도의 진도아리랑과 경상도의 밀양아리랑을 다양하게 변주한 작품으로, 지역적 특색을 뛰어넘는 국악의 보편적인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