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수 “인생 마지막 불꽃, 대전교육을 위해”
[대전교육감 출마예정자 인터뷰] 문재인 전 대통령 힘 실어줘 "교육 외에 다른 길 가본 적 없어" 단일화 참여, 교사정치기본권 보장해야
“김한수 배재대 전 부총장? 아~문재인 전 대통령 친동서?!”
원하든 원하지 않든, 그에게 늘 따라붙는 말이다. 대통령의 동서로서 그동안 참 어려운 처지였다는 김 전 총장. 이제는 ‘전 대통령 동서’라는 이름표가 대전교육감 선거에서 얼마나 파급력을 가질지도 관심이다.
김 전 부총장은 17일 오후 <디트뉴스24>와 만나 문재인 전 대통령의 동서로 지내 온 세월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얘기했으며, 대전교육을 위해 인생 마지막 불꽃을 태우고 싶다는 각오도 밝혔다.
벌써 1년여가 다 돼가는 12·3 비상계엄 사태에 대해 김 전 부총장은 “국회 앞 맨몸으로 서 있던 시민들과 부당한 지시에 잠시 멈추고 고민했던 군경의 모습에서 헌법을 먼저 떠올리는 양심과 원칙을 봤다. ‘교육이란 결국 그런 힘을 길러내는 것이구나’ 하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또 교사 피습과 학생 사망 사건 등 최근 대전교육의 문제점과 학교 비정규직과의 갈등 등은 구조와 철학의 부재를 지적하며 교육청의 역할을 강조했고, 진보 진영 단일화 움직임은 “회피하지 않고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외에도 그는 “대학에서 학생들을 만나며 유·초·중등 교육이 남긴 결과를 관찰하고, 그 결과 속에서 원인을 거꾸로 추적해 온 교육자”라며 “지식 중심의 교육이 아니라 몸·정서·관계·삶이 함께 자라는 ‘전체의 교육’을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김한수 전 배재대 부총장과의 일문일답
-교육감 출마를 결심한 이유를 알려 달라.
"평생, 40년 동안 학생들만 가르치며 교육 외에는 다른 길을 가본 적이 없다. 그 40년 동안의 경험과 생각을 대전교육에 녹여서 최고의 교육도시로 만들고 싶다는 포부다."
-지역 교육계서의 활동이 적고, 교수 출신으로 유·초·중등 정책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지적은 어떻게 생각하나
"대통령이라고 모든 정책을 세세하게 다 아는 것이 아니다. 국정철학과 자기 소신만 뚜렷하면 실무진이 움직이는 것이다. 교육감도 마찬가지다. 대전교육을 어느 방향으로 끌고 가겠다는 철학과 소신이 중요하다.
그리고 건양대 입학처장이나, 배재대 산학협력단장 등의 보직을 밭았을 때 교사들과 접촉도 많았다. 그분들이 내 퇴임 소식을 듣고 교육감 선거에 출마해야 한다고 권하기도 했다.
또 10여 년 전에는 사회 활동을 활발히, 많이 했다. 그런데 손윗동서인 문재인 전 대통령이 노무현 정부 비서실장, 이후 대통령 등을 지내면서 숨죽여 살았다. 오로지 학교와 집만 오갔다.
그러다 보니 이름도 잊혔는데, ‘뜬금없이 교육감 선거에 출마한다’는 비판은 동의하기 어렵다. 정치판에 기웃거리지 않고 아이들 가르치고 연구에 몰두한 것도 제 역할을 충실히, 충분히 했다고 본다."
-말이 나온 김에, 문재인 전 대통령은 교육감 선거 출마에 대해 언급한 게 있나.
"교육감 출마 최종 결정도 형님하고 했다. 문 전 대통령이 조금이라도 염려하면 나오지 않으려고 했는데, 힘을 실어 주셨다. 전적으로 찬성해 주시며 ‘해 봐라, 도울 수 있는 것은 모두 돕겠다’고 하셨다."
-진보 진영 단일화 움직임이 있다. 참여하나.
"회피하지 않고 참여할 것이다. 또한 단일화에 참여한 시민사회와 개인은 공동선대위 구성과 선거 승리의 책임을 함께 지고, 선거 이후 교육정책 공적 논의에도 함께 참여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그리고 일부에서는 내가 단일화의 불쏘시개만 하고, 빠질 것이라는 말도 있는데, 사실이 아니다. 만약 단일화가 안 되더라도 끝까지 선거를 완주할 것이다."
-출마 예정자들에게 하는 공통 질문이다. 학교 비정규직과의 갈등을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학교가 감당할 수 없는 역할을 떠안고 있기 때문에 생기는 갈등이다. 교육청이 학교를 대신해 부처·지자체·노조와 협의하고, 급식·돌봄·방과후의 계약과 기준을 표준화하는 ‘통합 플랫폼’ 역할을 맡아야 한다.
또한 교사, 행정직, 급식, 돌봄, 방과후, 학부모, 학생이 참여하는 ‘학교공동체 협의체’를 제도화해 학교가 감당할 일과 외부와 나눌 일을 스스로 판단하도록 하겠다."
-교사정치기본권 보장에 관한 견해는 어떤가.
"민주사회에서 당연히 보장돼야 한다. 문제는 ‘정치활동’이 아니라 민주주의·인권·역사 같은 필수 교육 주제까지 정치적이라고 몰아가는 기계적 정치중립의 관행이라고 본다.
이 관행이 교실을 침묵시키고, 그 빈틈을 타고 외부 사교육 콘텐츠나 특정 단체의 프로그램이 리박스쿨·넥스트클럽처럼 학교 안으로 들어오는 문제가 반복됐다.
교사가 시민으로서 최소한의 의견을 말하지 못하고, 민주주의를 가르치는 것조차 조심해야 하는 교실에서 아이들이 어떻게 민주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겠나.
이재명 정부가 ‘근무시간 외 정치활동의 자유 보장’을 논의하는 것도, 문재인 정부가 학교 민주주의와 교사 전문성을 강조한 것도 모두 결국 교사가 시민이어야 학생도 시민이 된다는 원칙 때문일 것이다."
▲김한수 전 배재대 부총장은
-1959년 충남 서산 출생
-서령고·한국체육대 체육학과 졸업
-한국체육대 운동생리학 석사·박사
-전 건양대 교수, 최초 운동처방학과(스포츠의학과) 창설
-전 배재대 레저스포츠학과 교수, 배재대 부총장(산학협력단장 겸직)
-현 오구라수집품 환수위원회 공동대표
-현 자치분권연구소 교육자치위원장
-현IDAC(국제디지털자산위원회)고문
-현 (사)국제다문화미래전략진흥원 교육분과위원장, 자문위원단장
-현 한국교육컨텐츠개발협회 자문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