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청 R&D본부 '대전 설치'.."국가 경쟁력 관점서 최적"

연구개발본부 설치 및 연구개발 활성화 정책토론회 개최 우주 연구개발 인프라, 산학연 공동 참여 가능 황정아 "한정된 국가자원 효율적 배치가 미래 경쟁력 좌우"

2025-11-14     황재돈 기자
1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우주청 연구개발본부 설치와 우주 연구개발 활성화 방안'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황재돈 기자. 

우주항공청 연구개발(R&D)본부를 대전에 설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국회서 나왔다. 대전은 우주 연구개발 인프라와 산학연 연계 환경을 갖추고 있어 연구개발 기능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최적지라는 주장이다. 

황정아 의원(더불어민주당·대전유성을)은 14일 국회의원회관서 열린 ‘우주청 연구개발본부 설치와 우주 연구개발 활성화 방안 정책토론회’ 개회사를 통해 “지금은 글로벌 우주 패권 경쟁 시대이며, 우주기술은 첨단 과학기술의 총화”라며 “한정된 국가 자원을 어디에 집중 배치하느냐가 미래 경쟁력을 좌우한다”고 강조했다. 

황 의원은 이어 “현 정부는 AI 3대 강국, 과학기술 5대 강국, 방산 4대 강국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선 우주 연구개발이 무엇보다 시급하고, 집중적·적략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우주청 설치 1년이 지난 시점에서 연구개발 컨트롤타워 역할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점검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우주청 R&D 본부를 대전에 설치해야 하는 당위성도 설명했다. 

황 의원은 “우주항공 연구개발과 인재양성에 특화된 대전은 우주산업 클러스터 삼각체제(대전·사천·고흥) 중 핵심 브레인 역할을 맡고 있다”며 “항우연, 천문연, 지자연, ETRI, KAIST, ADD 등 국내 최고 연구기관과 우주항공 관련 기업이 집적된 도시에 우주항공 R&D 기능을 부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학연이 공동 참여할 수 있는 최적의 연구개발 환경을 갖고 있다”고도 했다. 

양준석 대전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이 '우주항공청 연구개발 기능 제고를 위한 입지 방안'을 주제로 발제를 하고 있는 모습. 황재돈 기자. 

이 같은 주장에 학계와 지방정부도 힘을 보탰다.

양준석 대전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발제에서 “우주산업은 본질적으로 집적효과의 이점이 큰 분야”라며 “대전은 연구개발과 시험, 사업화가 연속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우주기술 연구 허브”라고 평가했다. 

그는 또 “연구개발 기능을 대전에 두는 것은 정치적 고려가 아닌, 국가 전체의 효율적 자원 배분과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최적의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유득원 대전시 행정부시장은 “대한민국이 글로벌 우주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선 세계적 수준의 연구개발 인프라와 전문인력, 산학연이 길민힐 연계된 생태계 구축이 필수”라며 “대전은 지난 50년간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축적된 연구개발 역량과 인프라, 민간 우주기업의 성장 잠재력 등 다른 도시가 갖지 못한 고유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